Econ. Environ. Geol. 2019; 52(5): 337-345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19
https://doi.org/10.9719/EEG.2019.52.5.337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orrespondence to : changyeol.lee@yonsei.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hypothesis of ridge subduction which explains the Cretaceous igneous activities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has been widely accepted in the society. Especially, the hypothesis explains the southwest-tonortheast migration of the Cretaceous adakite emergence in Southwest Japan. However, the hypothesis has several issues because the geochemical analyses and plate reconstruction model are not consistent with the consequences of the ridge subduction. To resolve the issues, a new hypothesis of the plume-continent and plume-slab interaction is suggested, which explains the igneous activities during the Cretaceous. In this review, I briefly introduce the two hypotheses and suggest an additional future study to prove the new hypothesis.
Keywords Cretaceous, igneous activity, ridge subduction, plume-continent and plume-slab interaction
이창열*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백악기 시기 화성 활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해령 섭입 가설이 제안되어 널리 받아들여 졌다. 특히, 해령 섭입 가설은 남서일본에서 발견되는 아다카이트의 북동 방향으로의 분출 시기의 감소를 잘 설명하였다. 그러나, 해령 섭입 가설은 이후 밝혀진 지구화학 연구 결과 및 판재구성 모델과 배치되기때문에 여러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해령 섭입 가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 시기 화성 활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룸-대륙 및 플룸-슬랩 상호 작용 가설이 제안되었고 이 가설은 해령 섭입 가설이 내포한 문제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백악기 화성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이 고찰에서는 해령 섭입 가설과 그 대안인 플룸-대륙 및플룸-슬랩 상호 작용 가설에 대해 요약하여 소개하고 이 대안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에 대해 제언한다.
주요어 백악기, 화성 활동, 해령 섭입, 플룸-대륙 및 플룸-슬랩 상호 작용
Econ. Environ. Geol. 2019; 52(5): 337-345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19 https://doi.org/10.9719/EEG.2019.52.5.33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hangyeol Lee*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Seoul 03722,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changyeol.lee@yonsei.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hypothesis of ridge subduction which explains the Cretaceous igneous activities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has been widely accepted in the society. Especially, the hypothesis explains the southwest-tonortheast migration of the Cretaceous adakite emergence in Southwest Japan. However, the hypothesis has several issues because the geochemical analyses and plate reconstruction model are not consistent with the consequences of the ridge subduction. To resolve the issues, a new hypothesis of the plume-continent and plume-slab interaction is suggested, which explains the igneous activities during the Cretaceous. In this review, I briefly introduce the two hypotheses and suggest an additional future study to prove the new hypothesis.
Keywords Cretaceous, igneous activity, ridge subduction, plume-continent and plume-slab interaction
이창열*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백악기 시기 화성 활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해령 섭입 가설이 제안되어 널리 받아들여 졌다. 특히, 해령 섭입 가설은 남서일본에서 발견되는 아다카이트의 북동 방향으로의 분출 시기의 감소를 잘 설명하였다. 그러나, 해령 섭입 가설은 이후 밝혀진 지구화학 연구 결과 및 판재구성 모델과 배치되기때문에 여러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해령 섭입 가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 시기 화성 활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룸-대륙 및 플룸-슬랩 상호 작용 가설이 제안되었고 이 가설은 해령 섭입 가설이 내포한 문제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백악기 화성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이 고찰에서는 해령 섭입 가설과 그 대안인 플룸-대륙 및플룸-슬랩 상호 작용 가설에 대해 요약하여 소개하고 이 대안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에 대해 제언한다.
주요어 백악기, 화성 활동, 해령 섭입, 플룸-대륙 및 플룸-슬랩 상호 작용
Seon-Gyu Choi, Jeonggeuk Kang and Jong Hyun Lee
Econ. Environ. Geol. 2019; 52(5): 323-336Pleomagnetic Study on Cretaceous Rocks in Haenam Area
Mutaek Lim, Youn Soo Lee, Hee-Cheol Kang, Ju-Yong Kim and In-Hwa Park
Econ. Environ. Geol. 2001; 34(1): 119-131In-Chang Ryu, Seon-Gyu Choi and Soo-Meen Wee
Econ. Environ. Geol. 2006; 39(2): 129-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