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rticle

2014; 47(6): 673-68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Global Trends of Marine Petroleum Exploration Science Information

Sang Cheol Kil1, Kwan Soon Park2* and Jin Dong Cho2

1KISTI
2KISTI ReSEAT Program

Received: October 14, 2014; Revised: December 10, 2014; Accepted: December 10, 2014

Abstract

Recentl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try to develop alternative energy sources, however, traditional hydrocarbon resources are still occupying most of the energy resources. Exploration demands for high technologies are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limited oil & gas resources field owing to the exhaustion of hydrocarbon resources for access area. Therefore, an effort for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zimuth seismic survey, ocean-bottom seismic survey and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survey is necessary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technologies such as 2D/3D seismic survey.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marine hydrocarbon exploration technologies and analyzing their internalexternal researches, development and science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analised total 616 dissertations for the marine petroleum exploration released in the Sci-expanded DB of ‘web of science’ during the 2001~2014 periods.

Keywords 2D seismic survey, 3D seismic survey, azimuth seismic survey, ocean-bottom seismic survey,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survey, seismic attribute, marine petroleum exploration science information

해저 석유탐사 학술정보 분석

길상철1·박관순2*·조진동2

1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 사업팀 책임연구원, 2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요 약

세계 여러 나라들이 대체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탄화수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 당히 크며 접근 용이한 지역의 석유자원이 점차 고갈됨에 따라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한계 유가스전 개발을 위한 탐사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탐사기술인 2차원 탄성파 탐사 및 3차원 탄성파 탐사 기술의 이해는 물론 새로운 기 술인 방위각 탄성파 탐사, 해저면 탄성파 탐사, 해양 전자탐사 기술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은 해저 석유탐사 기술의 개요와 이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 개발, 학술동향 등을 상세히 분석한 것으로, 국내 관련 산업 및 기술정책 수립과 연구개발에 유용한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eb of science의 SCI-Expanded DB에 발표된 해저 석유탐사 관련 논문(2001~2014)을 조사한 결과 616건을 대상으로 학술정보를 분석하였다. 발표문헌은 중국이 전체의 22.56%를 점유하여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미국과 브라질이 추격하는 양상을 보인다. 국가별 논문 수준 지수 분석 결과, 잉글랜드가 가장 높은 값(1.94)을 보여 논문의 피인용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하 였고, 미국(1.77), 노르웨이(1.46), 캐나다(1.39), 프랑스(1.39), 스코틀랜드(1.38)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어 2차원 탄성파 탐사, 3차원 탄성파 탐사, 방위각 탄성파 탐사, 해저면 탄성파 탐사, 해양 전자탐사, 탄성파 속 성법, 해저 석유탐사 학술정보

Article

Review Article

2014; 47(6): 673-68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Global Trends of Marine Petroleum Exploration Science Information

Sang Cheol Kil1, Kwan Soon Park2* and Jin Dong Cho2

1KISTI
2KISTI ReSEAT Program

Received: October 14, 2014; Revised: December 10, 2014; Accepted: December 10, 2014

Abstract

Recentl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try to develop alternative energy sources, however, traditional hydrocarbon resources are still occupying most of the energy resources. Exploration demands for high technologies are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limited oil & gas resources field owing to the exhaustion of hydrocarbon resources for access area. Therefore, an effort for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zimuth seismic survey, ocean-bottom seismic survey and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survey is necessary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technologies such as 2D/3D seismic survey.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marine hydrocarbon exploration technologies and analyzing their internalexternal researches, development and science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analised total 616 dissertations for the marine petroleum exploration released in the Sci-expanded DB of ‘web of science’ during the 2001~2014 periods.

Keywords 2D seismic survey, 3D seismic survey, azimuth seismic survey, ocean-bottom seismic survey,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survey, seismic attribute, marine petroleum exploration science information

해저 석유탐사 학술정보 분석

길상철1·박관순2*·조진동2

1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 사업팀 책임연구원, 2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eceived: October 14, 2014; Revised: December 10, 2014; Accepted: December 10, 2014

요 약

세계 여러 나라들이 대체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탄화수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 당히 크며 접근 용이한 지역의 석유자원이 점차 고갈됨에 따라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한계 유가스전 개발을 위한 탐사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탐사기술인 2차원 탄성파 탐사 및 3차원 탄성파 탐사 기술의 이해는 물론 새로운 기 술인 방위각 탄성파 탐사, 해저면 탄성파 탐사, 해양 전자탐사 기술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은 해저 석유탐사 기술의 개요와 이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 개발, 학술동향 등을 상세히 분석한 것으로, 국내 관련 산업 및 기술정책 수립과 연구개발에 유용한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eb of science의 SCI-Expanded DB에 발표된 해저 석유탐사 관련 논문(2001~2014)을 조사한 결과 616건을 대상으로 학술정보를 분석하였다. 발표문헌은 중국이 전체의 22.56%를 점유하여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미국과 브라질이 추격하는 양상을 보인다. 국가별 논문 수준 지수 분석 결과, 잉글랜드가 가장 높은 값(1.94)을 보여 논문의 피인용 관점에서 질적 수준이 가장 우수하 였고, 미국(1.77), 노르웨이(1.46), 캐나다(1.39), 프랑스(1.39), 스코틀랜드(1.38)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어 2차원 탄성파 탐사, 3차원 탄성파 탐사, 방위각 탄성파 탐사, 해저면 탄성파 탐사, 해양 전자탐사, 탄성파 속 성법, 해저 석유탐사 학술정보

    KSEEG
    Dec 31, 2024 Vol.57 No.6, pp. 665~835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kakao talk
    • lin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pISSN 1225-7281
    eISSN 2288-7962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