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47(6): 657-67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brand factors of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This study considers KIGAM’s brand strategy among the various institutions contributing to the country’s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about science-related institutions as well as KIG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brand factors in various dimensions,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were found to be eviden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internal public shows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external public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KIGAM’s branding strategies.
Keywords brand factor, science communication, geosciences, mineral resources, internal public, external public
김찬석*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본 연구는 지질자원연구원의 브랜드 요인에 대해 내부 공중과 외부 공중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국가 발전 에 기여하는 다양한 기관들 중 본 연구는 지질자원연구원을 중심으로 브랜드화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질자원연구원뿐만 아니라 과학 관련 기관들의 브랜드화 전략에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다양한 차원 의 브랜드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내부 공중인 전문가 집단과 외부 공중인 비전문가 집단 사이의 인식차이가 뚜렷하 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지질자원연구원의 브랜드화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반응에서 내부 공중이 외부 공중보다 좀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브랜드 요인, 과학커뮤니케이션, 지질자원연구원, 내부공중, 외부공중
2014; 47(6): 657-67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han Souk Kim*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Cheongju University,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brand factors of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This study considers KIGAM’s brand strategy among the various institutions contributing to the country’s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about science-related institutions as well as KIG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brand factors in various dimensions,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were found to be eviden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internal public shows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external public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KIGAM’s branding strategies.
Keywords brand factor, science communication, geosciences, mineral resources, internal public, external public
김찬석*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본 연구는 지질자원연구원의 브랜드 요인에 대해 내부 공중과 외부 공중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국가 발전 에 기여하는 다양한 기관들 중 본 연구는 지질자원연구원을 중심으로 브랜드화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질자원연구원뿐만 아니라 과학 관련 기관들의 브랜드화 전략에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다양한 차원 의 브랜드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내부 공중인 전문가 집단과 외부 공중인 비전문가 집단 사이의 인식차이가 뚜렷하 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지질자원연구원의 브랜드화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반응에서 내부 공중이 외부 공중보다 좀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브랜드 요인, 과학커뮤니케이션, 지질자원연구원, 내부공중, 외부공중
Chan-Souk Kim, Hyun-Seon Lee and Seong-Yong Kim
Econ. Environ. Geol. 2012; 45(3): 335-346Jaeguk Jo, Bum Han Lee, Chul-Ho Heo
Econ. Environ. Geol. 2024; 57(5): 593-608Chan-Souk Kim and Hyunseon Lee
Econ. Environ. Geol. 2019; 52(6): 605-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