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 Environ. Geol. 2023; 56(2): 125-13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9719/EEG.2023.56.2.125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orrespondence to : *heelee@p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Most of previous cesium (Cs) sorbents have limitations on the treatment in the large-scale water system having low Cs concentration and high ion strength. In this study, the new Cs sorbent that is eco-friendly and has a high Cs removal efficiency was developed by improving the coal mine drainage treated sludge (hereafter ‘CMDS’) with the addition of Na and S. The sludge produced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for the mine drainage originating from the abandoned coal mine was used as the primary material for developing the new Cs sorbent because of its high Ca and Fe contents. The CMDS was improved by adding Na and S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hereafter ‘Na-S-CMDS’ for the developed sorbent in this study). Laboratory experiments and the sorption model studi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s sorption capacity and to understand the Cs sorption mechanisms of the Na-S-CMDS. The physico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he Na-S-CMDS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analyses, such as XRF, XRD, SEM/EDS, XPS, etc. From results of batch sorption experiments, the Na-S-CMDS showed the fast sorption rate (in equilibrium within few hours) and the very high Cs removal efficiency (> 90.0%) even at the low Cs concentration in solution (< 0.5 mg/L).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well fitted to the Langmuir isotherm model, suggesting the mostly monolayer coverage sorption of the Cs on the Na-S-CMDS. The Cs sorption kinetic model studies supported that the Cs sorption tendency of the Na-S-CMDS was similar to the pseudo-secondorder model curve and more complicated chemical sorption process could occur rather than the simple physical adsorption. Results of XRF and XRD analyses for the Na-S-CMDS after the Cs sorption showed that the Na content clearly decreased in the Na-S-CMDS and the erdite (NaFeS2•2(H2O)) was disappeared, suggesting that the active ion exchange between Na+ and Cs+ occurred on the Na-S-CMDS during the Cs sorption process. From results of the XPS analysis, the strong interaction between Cs and S in Na-S-CMDS was investigated and the high Cs sorption capacity was resulted from the binding between Cs and S (or S-complex). Results from this study supported that the Na-S-CMDS has an outstanding potential to remove the Cs from radioactive contaminated water systems such as seawater and groundwater, which have high ion strength but low Cs concentration.
Keywords cesium, sorption, ion exchange, coal mine drainage treated sludge, radioactive nuclide
전소영1 · 김단우1 · 변정현2 · 신대현2 · 양민준2 · 이민희2,*
1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2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지질과학전공
수계 내 세슘(cesium: Cs)을 제거하기 위하여 개발된 대부분의 기존 Cs 흡착제들은 원재료 값이 고가라는 단점과, 해수와 같이 높은 이온 강도와 낮은 Cs 농도를 가지는 대규모의 오염수를 실질적으로 정화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광산배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슬러지(CMDS)에 Na와 S를 첨가하여 친환경적이고 높은 Cs 제거 효율을 가지는 Cs 흡착제를 개발하였다. Fe 및 Ca 함량이 풍부한 CMDS를 1차 소재로 사용하였고, 열처리 과정으로 Na와 S를 첨가하여 새로운 Cs 흡착제를 제조하였다(이하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흡착제는 Na-S-CMDS라 명명함). Na-S-CMDS의 Cs 흡착능 및 흡착 기작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의 실험과 흡착 동역학 및 등온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XRF, XRD, SEM/EDS, XPS 등의 분석을 통해 Na-S-CMDS의 물리화학적,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Cs 흡착 기작을 규명하였다. 흡착 배치 실험 결과, Cs은 빠르게 Na-S-CMDS에 흡착되어 1시간 내 평형에 도달하였으며, 낮은 Cs 농도(0.5 mg/L) 조건에서도 높은 Cs 제거 효율(> 90.0%)을 보였다. 흡착 등온 모델링 결과, 단일 흡착을 가정하는 Langmuir 흡착 등온 모델에 대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흡착 동역학 모델링 결과 흡착 경향이 유사 2차 속도(pseudo second order kinetic) 모델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물리적 흡착보다 이온 교환과 같은 화학적 흡착이 우세함을 의미한다. 고농도의 Cs 용액으로 반응시킨 Na-S-CMDS의 XRF/XRD 분석 결과, Na-S-CMDS 내 Na 함량은 감소하고 흡착 전 존재하던 erdite (NaFeS2•2(H2O))가 관찰되지 않는 것을 통해, Na+과 Cs+ 사이에서 활발한 이온 교환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XPS 분석 결과, Na-S-CMDS에서 Cs와 S 사이의 강한 결합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Cs와 S(또는 S-복합체)내 결합에너지 감소도 Na-S-CMDS의 Cs 흡착능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폐기물로 처리되었던 석탄광산배수슬러지를 개량하여 제조한 Na-S-CMDS는 기존의 Cs 흡착제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해수 및 지하수와 같이 이온 강도는 높지만 Cs 농도가 낮은 대규모 오염 수계에서도 Cs 흡착능이 높게 유지되어, 현장에서 효과적인 Cs 흡착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세슘, 흡착, 이온 교환, 석탄광산배수처리슬러지, 방사성 핵종
Na-S-CMDS showed the high Cs sorption efficiency (> 90%) even at the low Cs concentration.
Main Cs sorption mechanisms of Na-S-CMDS are the ion exchange and the S-complex encapsulation.
Na-S-CMDS has the potential to remove Cs in seawater and groundwater which have high ion strength.
원자력은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는 청정한 에너지원 중 하나로 인식되어, 현재 많은 나라에서 화석 연료를 대체하고 있다(Tsai
본 연구에서는, 석탄광산배수를 처리하는 과정 중 생성되는 석탄광산배수처리슬러지(coal mine drainage treated sludge: 이하 ‘CMDS’)를 주재료로 활용하여 새로운 Cs 흡착제를 개발하였다. CMDS 자체로는 Cs의 제거 효율이 기존에 개발된 흡착제 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CMDS에 두가지 물질(나트륨(Na), 황(S))을 첨가하는 열처리 개량과정을 통하여 Cs 제거 효율을 증가시킨 새로운 Cs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흡착체의 광물학적, 구조적 특성과 Cs 흡착 기작 규명을 위한 흡착 실험과 모델링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개발한 흡착제의 Cs 흡착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CMDS는 대부분 무정형의 micrometer 및 sub-micrometer 크기의 산화철(iron oxide)/수산화철(hydroxide), 규산염(silicate) 입자와 방해석(calcite)으로 구성되어 있다(Cui
pH가 낮은 조건에서는(수계의 pH가 CMDS의 영전하점 보다 낮음) ‘+’로 대전된 CMDS 표면에 의하여, 양이온인 Cs+의 경우 정전기적 인력(electrostatic attraction)에 의한 흡착이 일어나기 어려운 환경이 유지된다. pH가 증가함에 따라(수계의 pH가 CMDS의 영전하점 보다 높아짐), CMDS 표면이 ‘-’로 대전되고 이는 양이온인 Cs+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흡착이 활성화될 수 있다. CMDS의 영전하점은 성분과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CMDS의 영전하점은 선행연구에서 pH 8-9의 값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CMDS 자체는 pH가 낮은 수계 환경에서 Cs 제거 효율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실제 본 연구의 배치 실험결과 Cs 제거 효율이 낮았음). 본 연구에서는 CMDS 표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한 Cs 흡착이나 물리적인 흡착 외에도, 이온 교환과 반응 내 산-염기 친화성을 향상시켜 CMDS 내 Cs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두 가지 물질(Na와 S)을 열처리과정에 의해 첨가하는 CMDS 개량을 실시하였고, 개량한 흡착제의 Cs 제거 효율 증가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다.
단순한 물리적 표면 흡착이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흡착과는 별개로, 유사 이온들의 이온 교환을 통한 흡착은 편리성, 효율성, 저비용 등의 이점으로 다양한 오염수를 처리하는 데에 적용되어왔다(Nilchi
두번째로 선택한 개량물질은 황(S)이다. HSAB 이론(hard soft acid base theory)은 Lewis 산-염기 반응이론으로, hard acid는 hard base와의 높은 친화성을, soft acid는 soft base와 높은 친화성을 가진다는 이론이다(Pearson, 1963). 일반적으로 “hard”는 원자 반경이 작고 유효 핵전하가 높으며 분극률이 낮은 반면 “soft”는 그와 반대되는 특성을 가진다(Pearson, 1966). HSAB 이론에 의하면, soft acid인 Cs+와 soft base인 S2-은 높은 친화성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Han
Table 1 Principal components of the CMDS and the Na-S-CMDS from the XRF analysis1
Composition | Weight (%) | |
---|---|---|
CMDS | Na-S-CMDS | |
Fe2O3 | 42.82 | 25.29 |
CaO | 35.20 | 26.50 |
Al2O3 | 7.92 | 3.08 |
SiO2 | 7.35 | 3.42 |
MgO | 4.80 | 3.31 |
MnO | 1.16 | 0.65 |
SO3 | 0.58 | 29.96 |
CO2O3 | 0.10 | 0.08 |
K2O | 0.07 | - |
SrO | - | 0.08 |
Na2O | - | 7.63 |
Total | 100 | 100 |
본 연구에서 사용된 CMDS는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한 함백광산에서 발생하는 석탄광산배수를 전기분해정화법에 의하여 처리하는 과정 중 생성된 슬러지를 사용하였다. 전기분해정화법은 광산 배수 내 용해된 중금속을 물의 전기분해 과정 중 생성된 수산화이온(OH-)와 결합시켜 금속수산화물 형태의 침전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전기분해정화법에 의해서 처리된 함백광산 CMDS는 높은 Ca 및 Fe 성분을 가지나, 유해한 중금속 함량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ung, 2014). 실험에 사용된 CMDS는 100번체(직경 <150 μm)를 통과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Na-S-CMDS를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할 고상의 황(S; 99%) 그리고 수산화나트륨(NaOH; 98%)을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실제 Cs으로 오염된 오염수를 확보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10,000 mg/L 농도의 Cs-133 표준용액(5% 질산용액: Sigma Aldrich 회사 제품)을 2차 증류수에 희석하여 인공오염수로 사용하였다.
Na-S-CMDS 제조를 위하여, CMDS, 수산화나트륨, 황의 질량비가 1 : 1 : 0.4의 비율에 해당하는 양을 막자사발을 사용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후 균일하게 혼합해주었다. 혼합물은 전기로를 사용하여 2시간동안 400°C에서 열처리 과정을 거친 후 상온에서 냉각을 진행하였다. 열처리 과정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CMDS 내 Na-S를 안정되게 결합시켜, 개량된 흡착제의 구조적 안정성 및 Cs 흡착능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택하였다(Chen
수계 내 Cs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로서 Na-S-CMDS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Cs 흡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을 규명하는 흡착 배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제 투입량에 따라 달라지는 Cs 제거 효율을 확인함으로써, Cs을 제거하기 위한 최적의 투입량을 결정하기 위한 흡착 배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Cs 농도 0.5 mg/L의 인공오염수 40 mL에 Na-S-CMDS를 각각 0.2, 0.4, 0.6, 0.8, 1 g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250 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3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 분리 한 시료의 상등액을 0.45 μm 실린지 필터(16533-K, Sartorius)를 이용하여 여과 후 Cs 농도를 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NexION 300D, Perkin Elmer)로 분석하였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로부터, Na-S-CMDS의 Cs 제거 효율(removal efficiency)은 식(3)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본 실험과 이후 모든 흡착 배치 실험은 3회 반복한 결과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C0 (mg/L)은 인공오염수의 초기 Cs 농도이며, Ct (mg/L)은 반응시간 (t)동안 배치실험 후 상등액의 Cs 농도 값을 나타낸다. 흡착제의 Cs 흡착능(sorption capacity)은 식 (4)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qe (mg/g)는 Cs 흡착능(sorption capacity), C0 (mg/L)과Ce (mg/L)는 각각 Cs 인공오염수의 초기 농도 및 평형상태의 농도를 의미하며, m은 투입한 Na-S-CMDS의 양(g),V는 Cs 인공오염수의 부피(L)를 나타낸다.
오염현장에서 대규모의 오염수를 빠른 시간내에 처리하는 것은 흡착제의 실용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므로, 흡착제와 오염수의 반응시간에 따른 Cs 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3.3.1의 배치실험 결과를 토대로 Na-S-CMDS 0.2 g을 0.5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 40 mL에 첨가하여 반응시간을 각각 60분, 90분, 120분, 240분, 360분, 720분, 1440분, 2880분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시간은 1시간 교반 후 정치시간의 합으로 계산). 실제 원전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Cs 오염수는 1차적으로 해수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수 내 Cs을 제거하는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Cs 인공오염수의 pH 조건을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해수와 유사한 pH 9로 적정하였다. 기타 흡착 실험 조건 및 과정은 3.3.1과 동일하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식(3)을 이용하여 제거 효율을 계산함으로써,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을 결정하였고 실험 결과값을 흡착 동역학 모델에 적용하였다.
오염 수계의 다양한 Cs 농도 조건에서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공오염수의 Cs 초기농도를 다르게 제조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진행하였다. Cs 인공오염수의 농도를 0.1, 0.5, 1, 5, 10, 20, 100 및 200 mg/L로 각각 제조하여 1시간 교반 후 23시간 동안 정치시켰다(총 흡착 반응시간: 24시간). 기타 흡착 실험조건 및 과정은 3.3.2과 동일하며,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식(3)에 도입하여 제거 효율을 계산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흡착 등온 모델에 적용하였다.
Na-S-CMDS의 Cs 흡착 속도 및 흡착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대표적인 흡착 동역학 모델에 대응시켜, 흡착 동역학 모델 상수들을 결정하였다(Azizian, 2004). 대표적인 흡착 동역학 모델로 유사 1차속도 모델(pseudo first order model)과 및 유사 2차 속도모델(pseudo second order model)에 실험 결과를 대응시켜 속도 모델 상수값을 결정하였으며, 두 모델을 비교하여 Na-S-CMDS의 Cs 흡착 특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사 1차 속도 모델은 물리적 흡착이 우세한 특성을, 유사 2차 속도 모델은 화학적 흡착이 우세한 특성을 나타낸다(Hu
적용한 유사 1차 속도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k1 (1/min)은 유사 1차 속도 모델 상수이며, qe(mg/g)와 qt (mg/g)가 각각 평형에서와 시간 t에서의 흡착능이다.
적용한 유사 2차 속도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k2 (g/(mg/min))는 유사 2차 속도 모델 상수이다.
흡착 등온 모델(sorption isotherm model)을 적용하여 Na-S-CMDS의 Cs 최대 흡착량 및 흡착 특성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흡착 등온 모델은 Langmuir 모델과 Freundlich 모델로(Ho
여기서, Ce (mg/L) 및 qe (mg/g)는 평형 상태의 Cs 농도 및 Cs 흡착능이며, qm (mg/g)는 Cs 최대 흡착능을 의미한다. KL (L/mg)는 Langmuir 상수이다.
여기서, KF (L/mg)은 Freundlich 상수이며, n은 흡착 강도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Na-S-CMDS에 흡착된 Cs의 흡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Cs 인공오염수를 사용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반복하였다. 500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 40 mL에 Na-S-CMDS 4 g을 사용하여 150 rpm으로 1시간 교반 후 1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5B 여과지를 사용하여 Na-S-CMDS를 용액에서 분리하였고 분리된 시료를 건조한 후 XRD/XRF, SEM/EDS, XPS (angle-resolved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KRATOS, AXIS SUPRA) 분석을 진행하여 흡착전과 비교함으로써, Na-S-CMDS 주요 Cs 흡착 기작을 규명하였다.
개량하지 않은 CMDS 및 개량한 Na-S-CMDS의 주 구성성분과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XRF 및 XRD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과 Fig. 3에 나타내었다. XRF 분석 결과 CMDS는 주로 Fe2O3 (42.82 wt.%) 및 CaO (35.20 wt.%)를 함유하였으며, XRD 분석 결과에서는 Ca 기반의 광물인 calcite (CaCO3) 및 aragonite(CaCO3)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광산 배수 처리 과정에서 중화제로 Ca(OH)2와 CaO를 첨가하므로(MIRECO, 2021), 침전과정(주로 광물탄산화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XRD 분석에서 Fe 함유 광물의 피크가 관찰되지 않은 것은, pH 7 이하의 지표수조건에서는 대부분의 Fe는 비정질의 ferrihydrite 또는 goethite의 형태로 침전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Cui
기존 CMDS 및 Na-S-CMDS의 표면 구조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BET (Brunauer-Emmett-Teller) 및 SEM/EDS 분석을 수행하였다. BET 분석 결과 176.10 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CMDS가 S의 캡슐화 과정 및 공극의 폐색으로 인하여 Na-S-CMDS의 비표면적은 19.31 m2/g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Table 2). 하지만, CMDS와 Na-S-CMDS의 기공 직경은 2~50 nm 범위의 해당하는 메조 세공(mesopore)으로 구성되어 있어, Cs의 물리적인 표면 흡착 및 Cs을 포함하는 새로운 착화물(complex)를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Han
Table 2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CMDS and the Na-S-CMDS
CMDS | Na-S-CMDS | |
---|---|---|
Specific surface area (m2/g) | 176.11 | 19.31 |
Pore volume (cm3/g) | 0.20 | 0.08 |
Pore diameter (nm) | 5.86 | 14.89 |
최적의 흡착제 투입량을 선택하기 위하여, CMDS 및 Na-S-CMDS의 투입량 별 흡착 배치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Fig. 6에 나타내었다. CMDS의 경우, CMDS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수 내 Cs 제거 효율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최대 Cs 제거 효율은 28%로 기존의 연구된 Cs 흡착제들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Eun
Na-S-CMDS의 흡착 반응시간에 따른 Cs 제거 효율 결과를 Fig. 7(a)에 나타내었다. 흡착 반응 후 1시간 이내 최대 제거 효율(93.91%)에 도달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흡착 평형에 도달하였다. 이는 Na-S-CMDS가 충분한 흡착공간을 가지고 있어 초기 단계에서 표면부터 Cs 흡착이 빠르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Qing, 2010), SEM/EDS 결과와도 일치한다(4.3.3 내용 참조).
초기 Cs 농도에 따른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의 결과를 Fig. 7(b)에 나타내었다. Na-S-CMDS는 초기 Cs 농도가 0.5 mg/L 이하의 범위에서도 80% 이상의 높은 Cs 제거 효율을 보였다. 실제 원전 사고로 방사성 폐수가 지하수나 해수로 누출될 때 오염 수계의 Cs 농도는 1.0 mg/L 이하를 나타내어(Alamudy
4.2.2의 반응시간에 따른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유사
2차 속도 모델에 적용한 결과를 Fig. 8에 도시하였고, 커브피팅(curve fitting)과정으로 통해 구해진 흡착 속도 모델 상수(k2) 값과 회귀계수(R2) 값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유사 1차 속도 모델에서 얻은 흡착 상수를 기반으로 계산된 qe 값은 합리적인 값을 제공하지 않아 유사 1차 속도 모델 상수 결과는 본 논문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흡착실험결과를 유사 2차 속도 모델에 투영한 경우 0.999의 높은 회귀계수(R2) 값과, 실험을 통해 계산된 qe 값과식을 통해 계산된 qe 값이 유사하게 나타나, Na-S-CMDS의 Cs 흡착은 유사 2차 속도 모델과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Na-S-CMDS의 주요 Cs 흡착 특성이 물리적 흡착보다 화학적 흡착에 우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Liu
Table 3 Parameter values of the pseudo second order model for the Cs sorption on the Na-S-CMDS
Pseudo second order model parameter value | |||
---|---|---|---|
qe,exp (mg/g) | qe,cal (mg/g) | k2 (g/(mg/min)) | R2 |
0.091 | 0.090 | 25.253 | 0.999 |
4.2.3에서 수행한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Langmuir 흡
착 등온 모델과 Freundlich 흡착 등온모델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9에 나타내었고, 도시한 흡착 등온 모델로부터 계산되어진 흡착 상수 값들과 회귀계수(R2) 값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회귀계수(R2) 값은 Langmuir 흡착 등온 모델(R2 = 0.999)이 Freundlich 흡착 등온 모델(R2= 0.948)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이므로, Na-S-CMDS의 Cs 흡착은 Freundlich 보다 Langmuir 흡착 특성에 좀 더 우세하다고 판단되며, 이는 Cs이 Na-S-CMDS 표면에 균일하게 단일층의 형태로 흡착되어 있음을 시사한다(Crini al., 2007). Langmuir 흡착 등온 모델로부터 계산된 Cs 최대 흡착능(qm)은 10.823 mg/g로, 본 연구의 Na-SCMDS 흡착 배치 실험이, 낮은 Cs 초기 농도 범위와 흡착제 투입량 조건에서 진행되었음을 감안하면, 기존의 흡착제들보다 비슷하거나 높은 값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Na-S-CMDS은 비교적 낮은 오염 Cs 농도를 가지는 다량의 오염 수계에서도, Cs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able 4 Parameter values of the Langmuir isotherm model and Freundlich isotherm model fitted for the Cs sorption on the Na-S-CMDS
Langmuir isotherm parameter | Freundlich isotherm parameter | ||||
---|---|---|---|---|---|
qm (mg/g) | KL (L/mg) | R2 | KF (mg/g) | n | R2 |
10.823 | 0.078 | 0.999 | 0.919 | 1.858 | 0.948 |
Na-S-CMDS 내 흡착된 Cs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s 초기 농도가 500 mg/L인 인공 오염수를 사용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수행한 후, 건조한 Na-S-CMDS의 XRF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흡착실험 후 Na-S-CMDS 내 Cs 성분이 검출되어 0.5%), Na-S-CMDS 입자 내외부에 다량의 Cs이 흡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Na 성분은 7.62%에서 5.99%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원자가수가 같고 유사한 수화반경(Cs+: 0.329 nm, Na+: 0.358 nm)을 가지는 Cs+과 Na+ 사이의 이온 교환반응이, 오염수에 첨가한 Na-S-CMDS에서 활발히 진행된 결과이며, 이로부터 Na-S-CMDS 내 Cs의 주요 흡착 메커니즘 중 하나가 Cs+과 Na+ 사이의 이온 교환 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흡착반응 후 Na-S-CMDS에서 5.99%의 Na 성분이 검출된 것은 Cs과 이온교환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충분한 양이 남아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Na-S-CMDS 재사용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S 성분은 29.96%에서 26.09% 감소하였는데, 이는 흡착 배치 실험과정에서 일부 S가 용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개발한 Na-S-CMDS 흡착제로부터 S의 용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흡착제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Table 5 Comparison of the principal components for the Na-S-CMDS before and after the sorption of Cs (500 mg/L in solution) from the XRF analysis
Composition | Weight (%) | |
---|---|---|
Na-S-CMDS (before sorption) | Na-S-CMDS (after sorption) | |
SO3 | 29.96 | 26.09 |
CaO | 26.50 | 26.66 |
Fe2O3 | 25.29 | 28.95 |
Na2O | 7.64 | 5.99 |
SiO2 | 3.42 | 3.19 |
MgO | 3.31 | 3.51 |
Al2O3 | 3.08 | 3.76 |
MnO | 0.65 | 0.81 |
CO2O3 | 0.08 | - |
SrO | 0.08 | 0.09 |
Cs2O | - | 0.50 |
ClO2 | - | 0.45 |
Total | 100 | 100 |
Na-S-CMDS 내 흡착된 Cs에 의한 주 광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Cs의 초기 농도가 500 mg/L인 오염수를 사용하여 Cs을 흡착시키기 전과 후 Na-S-CMDS의 XRD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를 Fig. 10에 나타내었다. Cs 흡착 후 Na-S-CMDS에서는 흡착 전 Na-S-CMDS에서 발견되었던 erdite (NaFeS2•2(H2O))의 피크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Na-S-CMDS의 주요 Cs 흡착 기작인 Cs과 Na의 이온 교환의 반응의 영향으로, erdite의 주 구성성분인 Na를 Cs가 대체한 결과로 판단된다.
500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로 흡착 배치 실험을 진행한 후 Na-S-CMDS 내 표면의 원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EM/EDS 분석을 진행하여 Fig. 11에 나타내었다. EDS 분석결과, Na-S-CMDS 표면에서 Cs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는 빠른 시간내에 Cs 표면에 흡착된 결과로 판단된다.
Na-S-CMDS에서 발생한 Cs과 S 간의 상호 반응에 의한 결합에너지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500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로 흡착 배치 실험을 진행하기 전과 후, Na-S-CMDS의 XPS 분석을 수행하였고, Na-S-CMDS의 S 2p XPS 스펙트럼 결과를 비교하여 Fig. 12에 나타내었다. XPS 분석결과 Na-S-CMDS 내에 흡착된 Cs과 S 간의 상호 반응으로 인하여, Cs 흡착 후 Na-S-CMDS는 흡착 전보다 현저히 낮은 결합 에너지(-1eV)를 가지는 S 2p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HSAB 반응 이론에 기초하여 soft acid에 해당하는 Cs과 soft base에 해당하는 S 사이의 높은 친화성으로 인하여 S가 부분적으로 Cs에 전자를 기여함에 따른 결합 에너지 감소 결과로 판단된다.
생태계 및 인간에게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방사성핵종인 Cs은,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자연 재해에 의하여 원자력발전소나 사용후핵연료 폐기물 저장소 등으로부터 누출되어 주변 수계와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다. Cs으로 오염된 수계를 효과적으로 정화하기 위하여 보다 저렴하며, 낮은 농도로 오염된 Cs 오염수에도 높은 제거 효율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Cs 흡착제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과정을 통하여 Na와 S을 기존에 폐기물로 취급되었던 석탄광산배수처리슬러지(CMDS)에 합성하여 Cs의 흡착능을 향상시킨 새로운 친환경 Cs 흡착제를 개발하였고(‘Na-S-CMDS’로 명명), 낮은 Cs 농도 범위에서도 수계 내 Cs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다양한 실내 실험과 평형-비평형 흡착모델식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입증하였다. 개발한 Na-S-CMDS는 기존 CMDS 보다 Cs 제거 효율과 흡착능이 평균 4배 이상 향상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CMDS에 Na와 S를 추가함으로써, 물리적, 정전기인력에 의한 Cs 흡착에 Na+와 Cs+의 활발한 이온 교환과 S-Cs의 결합력을 증가시킴으로 얻어진 결과이다. 기존에 개발된 Cs 흡착제들이 Na 등 공통이온 함량이 매우 높아 이온강도가 큰 해수나 지하수에 대하여 Cs 제거 효율이 낮아지고, 낮은 농도 범위에서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보완한 친환경 Cs 흡착제의 개발을 성공하였다. 본 연구는 오염수의 이온 강도에 따른 Cs 흡착 효율에 대한 실험 결과를 포함하지 않고 있으므로, 추후, 국내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해수와 지하수(이온 강도가 높은 실제 수계)를 대상으로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을 평가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실제 다양한 Cs 오염 현장에서 Na-S-CMDS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담체(binder)를 사용한 다양한 크기의 입상 Na-S-CMDS 흡착제를 제조하여, Cs 흡착능을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논문은 2020년도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자지원사업(NRF-2020R1F1A1072122)과 2022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2021R1A6C101A415)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본 연구를 심사해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들께 감사드린다.
Econ. Environ. Geol. 2023; 56(2): 125-13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9719/EEG.2023.56.2.12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Soyoung Jeon1, Danu Kim1, Jeonghyeon Byeon2, Daehyun Shin2, Minjune Yang2, Minhee Lee2,*
1Major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Major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heelee@p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Most of previous cesium (Cs) sorbents have limitations on the treatment in the large-scale water system having low Cs concentration and high ion strength. In this study, the new Cs sorbent that is eco-friendly and has a high Cs removal efficiency was developed by improving the coal mine drainage treated sludge (hereafter ‘CMDS’) with the addition of Na and S. The sludge produced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for the mine drainage originating from the abandoned coal mine was used as the primary material for developing the new Cs sorbent because of its high Ca and Fe contents. The CMDS was improved by adding Na and S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hereafter ‘Na-S-CMDS’ for the developed sorbent in this study). Laboratory experiments and the sorption model studi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s sorption capacity and to understand the Cs sorption mechanisms of the Na-S-CMDS. The physico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he Na-S-CMDS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analyses, such as XRF, XRD, SEM/EDS, XPS, etc. From results of batch sorption experiments, the Na-S-CMDS showed the fast sorption rate (in equilibrium within few hours) and the very high Cs removal efficiency (> 90.0%) even at the low Cs concentration in solution (< 0.5 mg/L).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well fitted to the Langmuir isotherm model, suggesting the mostly monolayer coverage sorption of the Cs on the Na-S-CMDS. The Cs sorption kinetic model studies supported that the Cs sorption tendency of the Na-S-CMDS was similar to the pseudo-secondorder model curve and more complicated chemical sorption process could occur rather than the simple physical adsorption. Results of XRF and XRD analyses for the Na-S-CMDS after the Cs sorption showed that the Na content clearly decreased in the Na-S-CMDS and the erdite (NaFeS2•2(H2O)) was disappeared, suggesting that the active ion exchange between Na+ and Cs+ occurred on the Na-S-CMDS during the Cs sorption process. From results of the XPS analysis, the strong interaction between Cs and S in Na-S-CMDS was investigated and the high Cs sorption capacity was resulted from the binding between Cs and S (or S-complex). Results from this study supported that the Na-S-CMDS has an outstanding potential to remove the Cs from radioactive contaminated water systems such as seawater and groundwater, which have high ion strength but low Cs concentration.
Keywords cesium, sorption, ion exchange, coal mine drainage treated sludge, radioactive nuclide
전소영1 · 김단우1 · 변정현2 · 신대현2 · 양민준2 · 이민희2,*
1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2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지질과학전공
수계 내 세슘(cesium: Cs)을 제거하기 위하여 개발된 대부분의 기존 Cs 흡착제들은 원재료 값이 고가라는 단점과, 해수와 같이 높은 이온 강도와 낮은 Cs 농도를 가지는 대규모의 오염수를 실질적으로 정화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광산배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슬러지(CMDS)에 Na와 S를 첨가하여 친환경적이고 높은 Cs 제거 효율을 가지는 Cs 흡착제를 개발하였다. Fe 및 Ca 함량이 풍부한 CMDS를 1차 소재로 사용하였고, 열처리 과정으로 Na와 S를 첨가하여 새로운 Cs 흡착제를 제조하였다(이하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흡착제는 Na-S-CMDS라 명명함). Na-S-CMDS의 Cs 흡착능 및 흡착 기작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의 실험과 흡착 동역학 및 등온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XRF, XRD, SEM/EDS, XPS 등의 분석을 통해 Na-S-CMDS의 물리화학적,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Cs 흡착 기작을 규명하였다. 흡착 배치 실험 결과, Cs은 빠르게 Na-S-CMDS에 흡착되어 1시간 내 평형에 도달하였으며, 낮은 Cs 농도(0.5 mg/L) 조건에서도 높은 Cs 제거 효율(> 90.0%)을 보였다. 흡착 등온 모델링 결과, 단일 흡착을 가정하는 Langmuir 흡착 등온 모델에 대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흡착 동역학 모델링 결과 흡착 경향이 유사 2차 속도(pseudo second order kinetic) 모델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물리적 흡착보다 이온 교환과 같은 화학적 흡착이 우세함을 의미한다. 고농도의 Cs 용액으로 반응시킨 Na-S-CMDS의 XRF/XRD 분석 결과, Na-S-CMDS 내 Na 함량은 감소하고 흡착 전 존재하던 erdite (NaFeS2•2(H2O))가 관찰되지 않는 것을 통해, Na+과 Cs+ 사이에서 활발한 이온 교환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XPS 분석 결과, Na-S-CMDS에서 Cs와 S 사이의 강한 결합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Cs와 S(또는 S-복합체)내 결합에너지 감소도 Na-S-CMDS의 Cs 흡착능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폐기물로 처리되었던 석탄광산배수슬러지를 개량하여 제조한 Na-S-CMDS는 기존의 Cs 흡착제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해수 및 지하수와 같이 이온 강도는 높지만 Cs 농도가 낮은 대규모 오염 수계에서도 Cs 흡착능이 높게 유지되어, 현장에서 효과적인 Cs 흡착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세슘, 흡착, 이온 교환, 석탄광산배수처리슬러지, 방사성 핵종
Na-S-CMDS showed the high Cs sorption efficiency (> 90%) even at the low Cs concentration.
Main Cs sorption mechanisms of Na-S-CMDS are the ion exchange and the S-complex encapsulation.
Na-S-CMDS has the potential to remove Cs in seawater and groundwater which have high ion strength.
원자력은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는 청정한 에너지원 중 하나로 인식되어, 현재 많은 나라에서 화석 연료를 대체하고 있다(Tsai
본 연구에서는, 석탄광산배수를 처리하는 과정 중 생성되는 석탄광산배수처리슬러지(coal mine drainage treated sludge: 이하 ‘CMDS’)를 주재료로 활용하여 새로운 Cs 흡착제를 개발하였다. CMDS 자체로는 Cs의 제거 효율이 기존에 개발된 흡착제 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CMDS에 두가지 물질(나트륨(Na), 황(S))을 첨가하는 열처리 개량과정을 통하여 Cs 제거 효율을 증가시킨 새로운 Cs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흡착체의 광물학적, 구조적 특성과 Cs 흡착 기작 규명을 위한 흡착 실험과 모델링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개발한 흡착제의 Cs 흡착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CMDS는 대부분 무정형의 micrometer 및 sub-micrometer 크기의 산화철(iron oxide)/수산화철(hydroxide), 규산염(silicate) 입자와 방해석(calcite)으로 구성되어 있다(Cui
pH가 낮은 조건에서는(수계의 pH가 CMDS의 영전하점 보다 낮음) ‘+’로 대전된 CMDS 표면에 의하여, 양이온인 Cs+의 경우 정전기적 인력(electrostatic attraction)에 의한 흡착이 일어나기 어려운 환경이 유지된다. pH가 증가함에 따라(수계의 pH가 CMDS의 영전하점 보다 높아짐), CMDS 표면이 ‘-’로 대전되고 이는 양이온인 Cs+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흡착이 활성화될 수 있다. CMDS의 영전하점은 성분과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CMDS의 영전하점은 선행연구에서 pH 8-9의 값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CMDS 자체는 pH가 낮은 수계 환경에서 Cs 제거 효율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실제 본 연구의 배치 실험결과 Cs 제거 효율이 낮았음). 본 연구에서는 CMDS 표면의 전기적 인력에 의한 Cs 흡착이나 물리적인 흡착 외에도, 이온 교환과 반응 내 산-염기 친화성을 향상시켜 CMDS 내 Cs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두 가지 물질(Na와 S)을 열처리과정에 의해 첨가하는 CMDS 개량을 실시하였고, 개량한 흡착제의 Cs 제거 효율 증가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다.
단순한 물리적 표면 흡착이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흡착과는 별개로, 유사 이온들의 이온 교환을 통한 흡착은 편리성, 효율성, 저비용 등의 이점으로 다양한 오염수를 처리하는 데에 적용되어왔다(Nilchi
두번째로 선택한 개량물질은 황(S)이다. HSAB 이론(hard soft acid base theory)은 Lewis 산-염기 반응이론으로, hard acid는 hard base와의 높은 친화성을, soft acid는 soft base와 높은 친화성을 가진다는 이론이다(Pearson, 1963). 일반적으로 “hard”는 원자 반경이 작고 유효 핵전하가 높으며 분극률이 낮은 반면 “soft”는 그와 반대되는 특성을 가진다(Pearson, 1966). HSAB 이론에 의하면, soft acid인 Cs+와 soft base인 S2-은 높은 친화성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Han
Table 1 . Principal components of the CMDS and the Na-S-CMDS from the XRF analysis1.
Composition | Weight (%) | |
---|---|---|
CMDS | Na-S-CMDS | |
Fe2O3 | 42.82 | 25.29 |
CaO | 35.20 | 26.50 |
Al2O3 | 7.92 | 3.08 |
SiO2 | 7.35 | 3.42 |
MgO | 4.80 | 3.31 |
MnO | 1.16 | 0.65 |
SO3 | 0.58 | 29.96 |
CO2O3 | 0.10 | 0.08 |
K2O | 0.07 | - |
SrO | - | 0.08 |
Na2O | - | 7.63 |
Total | 100 | 100 |
본 연구에서 사용된 CMDS는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한 함백광산에서 발생하는 석탄광산배수를 전기분해정화법에 의하여 처리하는 과정 중 생성된 슬러지를 사용하였다. 전기분해정화법은 광산 배수 내 용해된 중금속을 물의 전기분해 과정 중 생성된 수산화이온(OH-)와 결합시켜 금속수산화물 형태의 침전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전기분해정화법에 의해서 처리된 함백광산 CMDS는 높은 Ca 및 Fe 성분을 가지나, 유해한 중금속 함량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ung, 2014). 실험에 사용된 CMDS는 100번체(직경 <150 μm)를 통과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Na-S-CMDS를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할 고상의 황(S; 99%) 그리고 수산화나트륨(NaOH; 98%)을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실제 Cs으로 오염된 오염수를 확보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10,000 mg/L 농도의 Cs-133 표준용액(5% 질산용액: Sigma Aldrich 회사 제품)을 2차 증류수에 희석하여 인공오염수로 사용하였다.
Na-S-CMDS 제조를 위하여, CMDS, 수산화나트륨, 황의 질량비가 1 : 1 : 0.4의 비율에 해당하는 양을 막자사발을 사용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후 균일하게 혼합해주었다. 혼합물은 전기로를 사용하여 2시간동안 400°C에서 열처리 과정을 거친 후 상온에서 냉각을 진행하였다. 열처리 과정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CMDS 내 Na-S를 안정되게 결합시켜, 개량된 흡착제의 구조적 안정성 및 Cs 흡착능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택하였다(Chen
수계 내 Cs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로서 Na-S-CMDS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Cs 흡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을 규명하는 흡착 배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제 투입량에 따라 달라지는 Cs 제거 효율을 확인함으로써, Cs을 제거하기 위한 최적의 투입량을 결정하기 위한 흡착 배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Cs 농도 0.5 mg/L의 인공오염수 40 mL에 Na-S-CMDS를 각각 0.2, 0.4, 0.6, 0.8, 1 g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250 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3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 분리 한 시료의 상등액을 0.45 μm 실린지 필터(16533-K, Sartorius)를 이용하여 여과 후 Cs 농도를 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NexION 300D, Perkin Elmer)로 분석하였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로부터, Na-S-CMDS의 Cs 제거 효율(removal efficiency)은 식(3)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본 실험과 이후 모든 흡착 배치 실험은 3회 반복한 결과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C0 (mg/L)은 인공오염수의 초기 Cs 농도이며, Ct (mg/L)은 반응시간 (t)동안 배치실험 후 상등액의 Cs 농도 값을 나타낸다. 흡착제의 Cs 흡착능(sorption capacity)은 식 (4)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qe (mg/g)는 Cs 흡착능(sorption capacity), C0 (mg/L)과Ce (mg/L)는 각각 Cs 인공오염수의 초기 농도 및 평형상태의 농도를 의미하며, m은 투입한 Na-S-CMDS의 양(g),V는 Cs 인공오염수의 부피(L)를 나타낸다.
오염현장에서 대규모의 오염수를 빠른 시간내에 처리하는 것은 흡착제의 실용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므로, 흡착제와 오염수의 반응시간에 따른 Cs 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3.3.1의 배치실험 결과를 토대로 Na-S-CMDS 0.2 g을 0.5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 40 mL에 첨가하여 반응시간을 각각 60분, 90분, 120분, 240분, 360분, 720분, 1440분, 2880분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시간은 1시간 교반 후 정치시간의 합으로 계산). 실제 원전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Cs 오염수는 1차적으로 해수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수 내 Cs을 제거하는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Cs 인공오염수의 pH 조건을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해수와 유사한 pH 9로 적정하였다. 기타 흡착 실험 조건 및 과정은 3.3.1과 동일하다. 흡착 배치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식(3)을 이용하여 제거 효율을 계산함으로써,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을 결정하였고 실험 결과값을 흡착 동역학 모델에 적용하였다.
오염 수계의 다양한 Cs 농도 조건에서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공오염수의 Cs 초기농도를 다르게 제조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진행하였다. Cs 인공오염수의 농도를 0.1, 0.5, 1, 5, 10, 20, 100 및 200 mg/L로 각각 제조하여 1시간 교반 후 23시간 동안 정치시켰다(총 흡착 반응시간: 24시간). 기타 흡착 실험조건 및 과정은 3.3.2과 동일하며,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식(3)에 도입하여 제거 효율을 계산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흡착 등온 모델에 적용하였다.
Na-S-CMDS의 Cs 흡착 속도 및 흡착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대표적인 흡착 동역학 모델에 대응시켜, 흡착 동역학 모델 상수들을 결정하였다(Azizian, 2004). 대표적인 흡착 동역학 모델로 유사 1차속도 모델(pseudo first order model)과 및 유사 2차 속도모델(pseudo second order model)에 실험 결과를 대응시켜 속도 모델 상수값을 결정하였으며, 두 모델을 비교하여 Na-S-CMDS의 Cs 흡착 특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사 1차 속도 모델은 물리적 흡착이 우세한 특성을, 유사 2차 속도 모델은 화학적 흡착이 우세한 특성을 나타낸다(Hu
적용한 유사 1차 속도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k1 (1/min)은 유사 1차 속도 모델 상수이며, qe(mg/g)와 qt (mg/g)가 각각 평형에서와 시간 t에서의 흡착능이다.
적용한 유사 2차 속도 모델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k2 (g/(mg/min))는 유사 2차 속도 모델 상수이다.
흡착 등온 모델(sorption isotherm model)을 적용하여 Na-S-CMDS의 Cs 최대 흡착량 및 흡착 특성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흡착 등온 모델은 Langmuir 모델과 Freundlich 모델로(Ho
여기서, Ce (mg/L) 및 qe (mg/g)는 평형 상태의 Cs 농도 및 Cs 흡착능이며, qm (mg/g)는 Cs 최대 흡착능을 의미한다. KL (L/mg)는 Langmuir 상수이다.
여기서, KF (L/mg)은 Freundlich 상수이며, n은 흡착 강도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Na-S-CMDS에 흡착된 Cs의 흡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Cs 인공오염수를 사용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반복하였다. 500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 40 mL에 Na-S-CMDS 4 g을 사용하여 150 rpm으로 1시간 교반 후 1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5B 여과지를 사용하여 Na-S-CMDS를 용액에서 분리하였고 분리된 시료를 건조한 후 XRD/XRF, SEM/EDS, XPS (angle-resolved x-ray photoelectron spectrometer, KRATOS, AXIS SUPRA) 분석을 진행하여 흡착전과 비교함으로써, Na-S-CMDS 주요 Cs 흡착 기작을 규명하였다.
개량하지 않은 CMDS 및 개량한 Na-S-CMDS의 주 구성성분과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XRF 및 XRD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과 Fig. 3에 나타내었다. XRF 분석 결과 CMDS는 주로 Fe2O3 (42.82 wt.%) 및 CaO (35.20 wt.%)를 함유하였으며, XRD 분석 결과에서는 Ca 기반의 광물인 calcite (CaCO3) 및 aragonite(CaCO3)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광산 배수 처리 과정에서 중화제로 Ca(OH)2와 CaO를 첨가하므로(MIRECO, 2021), 침전과정(주로 광물탄산화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XRD 분석에서 Fe 함유 광물의 피크가 관찰되지 않은 것은, pH 7 이하의 지표수조건에서는 대부분의 Fe는 비정질의 ferrihydrite 또는 goethite의 형태로 침전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Cui
기존 CMDS 및 Na-S-CMDS의 표면 구조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BET (Brunauer-Emmett-Teller) 및 SEM/EDS 분석을 수행하였다. BET 분석 결과 176.10 m2/g의 비표면적을 가진 CMDS가 S의 캡슐화 과정 및 공극의 폐색으로 인하여 Na-S-CMDS의 비표면적은 19.31 m2/g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Table 2). 하지만, CMDS와 Na-S-CMDS의 기공 직경은 2~50 nm 범위의 해당하는 메조 세공(mesopore)으로 구성되어 있어, Cs의 물리적인 표면 흡착 및 Cs을 포함하는 새로운 착화물(complex)를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Han
Table 2 .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CMDS and the Na-S-CMDS.
CMDS | Na-S-CMDS | |
---|---|---|
Specific surface area (m2/g) | 176.11 | 19.31 |
Pore volume (cm3/g) | 0.20 | 0.08 |
Pore diameter (nm) | 5.86 | 14.89 |
최적의 흡착제 투입량을 선택하기 위하여, CMDS 및 Na-S-CMDS의 투입량 별 흡착 배치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Fig. 6에 나타내었다. CMDS의 경우, CMDS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수 내 Cs 제거 효율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최대 Cs 제거 효율은 28%로 기존의 연구된 Cs 흡착제들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Eun
Na-S-CMDS의 흡착 반응시간에 따른 Cs 제거 효율 결과를 Fig. 7(a)에 나타내었다. 흡착 반응 후 1시간 이내 최대 제거 효율(93.91%)에 도달하여, 빠른 시간 내에 흡착 평형에 도달하였다. 이는 Na-S-CMDS가 충분한 흡착공간을 가지고 있어 초기 단계에서 표면부터 Cs 흡착이 빠르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Qing, 2010), SEM/EDS 결과와도 일치한다(4.3.3 내용 참조).
초기 Cs 농도에 따른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의 결과를 Fig. 7(b)에 나타내었다. Na-S-CMDS는 초기 Cs 농도가 0.5 mg/L 이하의 범위에서도 80% 이상의 높은 Cs 제거 효율을 보였다. 실제 원전 사고로 방사성 폐수가 지하수나 해수로 누출될 때 오염 수계의 Cs 농도는 1.0 mg/L 이하를 나타내어(Alamudy
4.2.2의 반응시간에 따른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유사
2차 속도 모델에 적용한 결과를 Fig. 8에 도시하였고, 커브피팅(curve fitting)과정으로 통해 구해진 흡착 속도 모델 상수(k2) 값과 회귀계수(R2) 값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유사 1차 속도 모델에서 얻은 흡착 상수를 기반으로 계산된 qe 값은 합리적인 값을 제공하지 않아 유사 1차 속도 모델 상수 결과는 본 논문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흡착실험결과를 유사 2차 속도 모델에 투영한 경우 0.999의 높은 회귀계수(R2) 값과, 실험을 통해 계산된 qe 값과식을 통해 계산된 qe 값이 유사하게 나타나, Na-S-CMDS의 Cs 흡착은 유사 2차 속도 모델과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Na-S-CMDS의 주요 Cs 흡착 특성이 물리적 흡착보다 화학적 흡착에 우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Liu
Table 3 . Parameter values of the pseudo second order model for the Cs sorption on the Na-S-CMDS.
Pseudo second order model parameter value | |||
---|---|---|---|
qe,exp (mg/g) | qe,cal (mg/g) | k2 (g/(mg/min)) | R2 |
0.091 | 0.090 | 25.253 | 0.999 |
4.2.3에서 수행한 흡착 배치 실험 결과를 Langmuir 흡
착 등온 모델과 Freundlich 흡착 등온모델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9에 나타내었고, 도시한 흡착 등온 모델로부터 계산되어진 흡착 상수 값들과 회귀계수(R2) 값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회귀계수(R2) 값은 Langmuir 흡착 등온 모델(R2 = 0.999)이 Freundlich 흡착 등온 모델(R2= 0.948)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이므로, Na-S-CMDS의 Cs 흡착은 Freundlich 보다 Langmuir 흡착 특성에 좀 더 우세하다고 판단되며, 이는 Cs이 Na-S-CMDS 표면에 균일하게 단일층의 형태로 흡착되어 있음을 시사한다(Crini al., 2007). Langmuir 흡착 등온 모델로부터 계산된 Cs 최대 흡착능(qm)은 10.823 mg/g로, 본 연구의 Na-SCMDS 흡착 배치 실험이, 낮은 Cs 초기 농도 범위와 흡착제 투입량 조건에서 진행되었음을 감안하면, 기존의 흡착제들보다 비슷하거나 높은 값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Na-S-CMDS은 비교적 낮은 오염 Cs 농도를 가지는 다량의 오염 수계에서도, Cs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able 4 . Parameter values of the Langmuir isotherm model and Freundlich isotherm model fitted for the Cs sorption on the Na-S-CMDS.
Langmuir isotherm parameter | Freundlich isotherm parameter | ||||
---|---|---|---|---|---|
qm (mg/g) | KL (L/mg) | R2 | KF (mg/g) | n | R2 |
10.823 | 0.078 | 0.999 | 0.919 | 1.858 | 0.948 |
Na-S-CMDS 내 흡착된 Cs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s 초기 농도가 500 mg/L인 인공 오염수를 사용하여 흡착 배치 실험을 수행한 후, 건조한 Na-S-CMDS의 XRF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흡착실험 후 Na-S-CMDS 내 Cs 성분이 검출되어 0.5%), Na-S-CMDS 입자 내외부에 다량의 Cs이 흡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Na 성분은 7.62%에서 5.99%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원자가수가 같고 유사한 수화반경(Cs+: 0.329 nm, Na+: 0.358 nm)을 가지는 Cs+과 Na+ 사이의 이온 교환반응이, 오염수에 첨가한 Na-S-CMDS에서 활발히 진행된 결과이며, 이로부터 Na-S-CMDS 내 Cs의 주요 흡착 메커니즘 중 하나가 Cs+과 Na+ 사이의 이온 교환 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흡착반응 후 Na-S-CMDS에서 5.99%의 Na 성분이 검출된 것은 Cs과 이온교환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충분한 양이 남아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Na-S-CMDS 재사용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S 성분은 29.96%에서 26.09% 감소하였는데, 이는 흡착 배치 실험과정에서 일부 S가 용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개발한 Na-S-CMDS 흡착제로부터 S의 용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흡착제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Table 5 . Comparison of the principal components for the Na-S-CMDS before and after the sorption of Cs (500 mg/L in solution) from the XRF analysis.
Composition | Weight (%) | |
---|---|---|
Na-S-CMDS (before sorption) | Na-S-CMDS (after sorption) | |
SO3 | 29.96 | 26.09 |
CaO | 26.50 | 26.66 |
Fe2O3 | 25.29 | 28.95 |
Na2O | 7.64 | 5.99 |
SiO2 | 3.42 | 3.19 |
MgO | 3.31 | 3.51 |
Al2O3 | 3.08 | 3.76 |
MnO | 0.65 | 0.81 |
CO2O3 | 0.08 | - |
SrO | 0.08 | 0.09 |
Cs2O | - | 0.50 |
ClO2 | - | 0.45 |
Total | 100 | 100 |
Na-S-CMDS 내 흡착된 Cs에 의한 주 광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Cs의 초기 농도가 500 mg/L인 오염수를 사용하여 Cs을 흡착시키기 전과 후 Na-S-CMDS의 XRD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를 Fig. 10에 나타내었다. Cs 흡착 후 Na-S-CMDS에서는 흡착 전 Na-S-CMDS에서 발견되었던 erdite (NaFeS2•2(H2O))의 피크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Na-S-CMDS의 주요 Cs 흡착 기작인 Cs과 Na의 이온 교환의 반응의 영향으로, erdite의 주 구성성분인 Na를 Cs가 대체한 결과로 판단된다.
500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로 흡착 배치 실험을 진행한 후 Na-S-CMDS 내 표면의 원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EM/EDS 분석을 진행하여 Fig. 11에 나타내었다. EDS 분석결과, Na-S-CMDS 표면에서 Cs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는 빠른 시간내에 Cs 표면에 흡착된 결과로 판단된다.
Na-S-CMDS에서 발생한 Cs과 S 간의 상호 반응에 의한 결합에너지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500 mg/L 농도의 Cs 인공오염수로 흡착 배치 실험을 진행하기 전과 후, Na-S-CMDS의 XPS 분석을 수행하였고, Na-S-CMDS의 S 2p XPS 스펙트럼 결과를 비교하여 Fig. 12에 나타내었다. XPS 분석결과 Na-S-CMDS 내에 흡착된 Cs과 S 간의 상호 반응으로 인하여, Cs 흡착 후 Na-S-CMDS는 흡착 전보다 현저히 낮은 결합 에너지(-1eV)를 가지는 S 2p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HSAB 반응 이론에 기초하여 soft acid에 해당하는 Cs과 soft base에 해당하는 S 사이의 높은 친화성으로 인하여 S가 부분적으로 Cs에 전자를 기여함에 따른 결합 에너지 감소 결과로 판단된다.
생태계 및 인간에게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방사성핵종인 Cs은,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자연 재해에 의하여 원자력발전소나 사용후핵연료 폐기물 저장소 등으로부터 누출되어 주변 수계와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다. Cs으로 오염된 수계를 효과적으로 정화하기 위하여 보다 저렴하며, 낮은 농도로 오염된 Cs 오염수에도 높은 제거 효율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Cs 흡착제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과정을 통하여 Na와 S을 기존에 폐기물로 취급되었던 석탄광산배수처리슬러지(CMDS)에 합성하여 Cs의 흡착능을 향상시킨 새로운 친환경 Cs 흡착제를 개발하였고(‘Na-S-CMDS’로 명명), 낮은 Cs 농도 범위에서도 수계 내 Cs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다양한 실내 실험과 평형-비평형 흡착모델식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입증하였다. 개발한 Na-S-CMDS는 기존 CMDS 보다 Cs 제거 효율과 흡착능이 평균 4배 이상 향상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CMDS에 Na와 S를 추가함으로써, 물리적, 정전기인력에 의한 Cs 흡착에 Na+와 Cs+의 활발한 이온 교환과 S-Cs의 결합력을 증가시킴으로 얻어진 결과이다. 기존에 개발된 Cs 흡착제들이 Na 등 공통이온 함량이 매우 높아 이온강도가 큰 해수나 지하수에 대하여 Cs 제거 효율이 낮아지고, 낮은 농도 범위에서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보완한 친환경 Cs 흡착제의 개발을 성공하였다. 본 연구는 오염수의 이온 강도에 따른 Cs 흡착 효율에 대한 실험 결과를 포함하지 않고 있으므로, 추후, 국내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해수와 지하수(이온 강도가 높은 실제 수계)를 대상으로 Na-S-CMDS의 Cs 제거 효율을 평가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실제 다양한 Cs 오염 현장에서 Na-S-CMDS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담체(binder)를 사용한 다양한 크기의 입상 Na-S-CMDS 흡착제를 제조하여, Cs 흡착능을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논문은 2020년도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자지원사업(NRF-2020R1F1A1072122)과 2022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2021R1A6C101A415)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본 연구를 심사해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들께 감사드린다.
Table 1 . Principal components of the CMDS and the Na-S-CMDS from the XRF analysis1.
Composition | Weight (%) | |
---|---|---|
CMDS | Na-S-CMDS | |
Fe2O3 | 42.82 | 25.29 |
CaO | 35.20 | 26.50 |
Al2O3 | 7.92 | 3.08 |
SiO2 | 7.35 | 3.42 |
MgO | 4.80 | 3.31 |
MnO | 1.16 | 0.65 |
SO3 | 0.58 | 29.96 |
CO2O3 | 0.10 | 0.08 |
K2O | 0.07 | - |
SrO | - | 0.08 |
Na2O | - | 7.63 |
Total | 100 | 100 |
Table 2 .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CMDS and the Na-S-CMDS.
CMDS | Na-S-CMDS | |
---|---|---|
Specific surface area (m2/g) | 176.11 | 19.31 |
Pore volume (cm3/g) | 0.20 | 0.08 |
Pore diameter (nm) | 5.86 | 14.89 |
Table 3 . Parameter values of the pseudo second order model for the Cs sorption on the Na-S-CMDS.
Pseudo second order model parameter value | |||
---|---|---|---|
qe,exp (mg/g) | qe,cal (mg/g) | k2 (g/(mg/min)) | R2 |
0.091 | 0.090 | 25.253 | 0.999 |
Table 4 . Parameter values of the Langmuir isotherm model and Freundlich isotherm model fitted for the Cs sorption on the Na-S-CMDS.
Langmuir isotherm parameter | Freundlich isotherm parameter | ||||
---|---|---|---|---|---|
qm (mg/g) | KL (L/mg) | R2 | KF (mg/g) | n | R2 |
10.823 | 0.078 | 0.999 | 0.919 | 1.858 | 0.948 |
Table 5 . Comparison of the principal components for the Na-S-CMDS before and after the sorption of Cs (500 mg/L in solution) from the XRF analysis.
Composition | Weight (%) | |
---|---|---|
Na-S-CMDS (before sorption) | Na-S-CMDS (after sorption) | |
SO3 | 29.96 | 26.09 |
CaO | 26.50 | 26.66 |
Fe2O3 | 25.29 | 28.95 |
Na2O | 7.64 | 5.99 |
SiO2 | 3.42 | 3.19 |
MgO | 3.31 | 3.51 |
Al2O3 | 3.08 | 3.76 |
MnO | 0.65 | 0.81 |
CO2O3 | 0.08 | - |
SrO | 0.08 | 0.09 |
Cs2O | - | 0.50 |
ClO2 | - | 0.45 |
Total | 100 | 100 |
Danu Kim, Soyoung Jeon, Seon-ok Kim, Sookyun Wang, Minhee Lee
Econ. Environ. Geol. 2023; 56(2): 167-183Ni Wayan Sukma Taraning Rahayu, Seonhee Kim, Hyunji Tak, Kyeongtae Kim and Minhee Lee
Econ. Environ. Geol. 2020; 53(5): 529-542Jeonghwan Hwang, Sungwook Choung, Woosik Shin and Weon Shik Han
Econ. Environ. Geol. 2018; 51(2): 11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