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 Environ. Geol. 2025; 58(1): 69-79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https://doi.org/10.9719/EEG.2025.58.1.69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orrespondence to : *luckyk55@naver.com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media communication for the smooth execution of large-scale national projects, such as geological resource exploration, using media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he ‘Great Whale Project’ was analyzed based on 595 articles, divided into initial and later stages of media coverage. During the initial stage, President Yoon Sukyeol emerged as a major keyword, boosting information dissemination but also causing unnecessary controversy regarding the reliability and expertise of the information. This led to the issue of energy resources becoming politicized, with ongoing debates about the project's credibility and analysis expertise from both the initial and later stages. The later stage, emphasized the national and industrial significance of the project but continued to be plagued by political controversie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ptimal speaker, accuracy of information, and authority in media communication, especially for issues of great national and industrial significance like energy resources.
Keywords East Sea deep-sea gas field, exploration & development, blue whale project(the great whale project), media, keyword, topic modeling
김찬석1,* · 박현용2
1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2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본 연구는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대왕고래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서 대형 지질자원 탐사 사업과 같은 국책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분석은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최초 보도된 1주일(초기 단계)과 그 이후 언론보도(후기 단계)를 구분하여 총 595건의 기사에 대해 단어빈도 분석, 중요단어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초기 언론 보도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면 정보 전달 효과는 높았지만, 정보의 신뢰성, 전문성에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에너지 자원 이슈가 정치적인 이슈로 전환되었고,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분석의 전문성에 대한 논란이 초기와 후기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후기 보도에서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국가적 산업적 의미가 주목을 받았지만 정치적 논란이 지속되는 문제도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에너지 자원과 같은 국가적으로 산업적 중요성이 큰 이슈일수록 최적의 스피커, 정보의 정확성, 정보 권위의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주요어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대왕고래 프로젝트, 미디어, 키워드, 토픽모델링
Econ. Environ. Geol. 2025; 58(1): 69-79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https://doi.org/10.9719/EEG.2025.58.1.6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han-Souk Kim1,*, Hyun-Yong Park2
1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360-764, Korea
2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Duksung Women's University, 416-2 Dobong-gu,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luckyk55@naver.com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media communication for the smooth execution of large-scale national projects, such as geological resource exploration, using media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he ‘Great Whale Project’ was analyzed based on 595 articles, divided into initial and later stages of media coverage. During the initial stage, President Yoon Sukyeol emerged as a major keyword, boosting information dissemination but also causing unnecessary controversy regarding the reliability and expertise of the information. This led to the issue of energy resources becoming politicized, with ongoing debates about the project's credibility and analysis expertise from both the initial and later stages. The later stage, emphasized the national and industrial significance of the project but continued to be plagued by political controversie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ptimal speaker, accuracy of information, and authority in media communication, especially for issues of great national and industrial significance like energy resources.
Keywords East Sea deep-sea gas field, exploration & development, blue whale project(the great whale project), media, keyword, topic modeling
김찬석1,* · 박현용2
1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2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본 연구는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대왕고래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서 대형 지질자원 탐사 사업과 같은 국책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분석은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최초 보도된 1주일(초기 단계)과 그 이후 언론보도(후기 단계)를 구분하여 총 595건의 기사에 대해 단어빈도 분석, 중요단어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초기 언론 보도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면 정보 전달 효과는 높았지만, 정보의 신뢰성, 전문성에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에너지 자원 이슈가 정치적인 이슈로 전환되었고, 프로젝트의 신뢰성과 분석의 전문성에 대한 논란이 초기와 후기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후기 보도에서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국가적 산업적 의미가 주목을 받았지만 정치적 논란이 지속되는 문제도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에너지 자원과 같은 국가적으로 산업적 중요성이 큰 이슈일수록 최적의 스피커, 정보의 정확성, 정보 권위의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주요어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대왕고래 프로젝트, 미디어, 키워드, 토픽모델링
Chan Souk Kim
Econ. Environ. Geol. 2022; 55(3): 273-280Taeyong Kim, Hyemin Park, Junyong Heo, Minjune Yang
Econ. Environ. Geol. 2021; 54(3): 353-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