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 Environ. Geol. 2024; 57(6): 811-82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9719/EEG.2024.57.6.811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orrespondence to : *ygkim@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ehwa River water to examine the natural factors and human activities influencing changes in its major chemical composition. The Taehwa River flows through the major industrial city of Ulsan and eventually into the sea, where it is impacted by both anthropogenic pollution and natural processes such as rock weathering. In the upstream region, the weathering of igneous and sedimentary rocks plays a dominant role, resulting in high ratios of ions such as Ca, Mg, and HCO3. Additionally, the weathering of igneous rocks in the upper reaches contributes to elevated Si ratio. However, as the river flows downstream, the ratios of Cl and SO4 ions increase greatly due to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discharge of industrial effluents, domestic wastewater, and agricultural runoff. In the downstream areas, the mixing of seawater causes a significant rise in Na and Cl ratios, indicating the influence of seawater on the river water. Regarding heavy metals, their concentrations generally increase from upstream to downstream. Zn and As, in particular, show relatively high levels due to nearby industrial activities and abandoned mines, while other heavy metals exhibit irregular variations depending on the loca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origins of major ions and heavy metals in the Taehwa River,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understanding how rivers respond to natural weathering and human activities.
Keywords the Taehwa River, weathering, human activity, pollution, heavy metal
조덕희 · 김영규*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본 연구는 태화강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하천수의 주요 화학적 조성 변화에 미치는 자연적 요인과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태화강은 주요 산업 도시인 울산으로 흘러 바다로 유하하며,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위적 오염과 암석의 풍화와 같은 자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하천수에 영향을 미친다. 상류 지역에서는 화성암과 퇴적암의 풍화작용이 주요 역할을 하여 Ca, Mg, HCO3 등의 이온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상류의 화성암에 풍화에 의하여 Si이 높은 비를 보였다. 그러나 중류와 하류로 내려가면서 인간 활동으로 인한 Cl, SO4 등의 이온 비가 급격히 증가하며, 이는 산업 배수, 생활 폐수, 농업 폐기물 등의 유입이 그 원인임을 지시하였다. 특히 하류 지역에서는 바닷물의 혼입으로 인해 Na와 Cl의 비율이 급증하여, 하천수가 해수의 영향을 받는 특성을 띠었다. 중금속 농도의 경우, 상류에서부터 하류로 내려갈수록 증가하였으며, Zn과 As는 인근의 산업 활동 또는 폐광산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중금속들은 지점마다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태화강의 주요 이온과 중금속의 공간적 분포와 그 기원을 규명하였으며, 하천이 자연적 풍화 및 인간 활동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주요어 태화강, 풍화, 인간활동, 오염, 중금속
Econ. Environ. Geol. 2024; 57(6): 811-82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9719/EEG.2024.57.6.81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Duk-Hee Jo, Yeongkyoo Kim*
School of Earth System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Correspondence to:*ygkim@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ehwa River water to examine the natural factors and human activities influencing changes in its major chemical composition. The Taehwa River flows through the major industrial city of Ulsan and eventually into the sea, where it is impacted by both anthropogenic pollution and natural processes such as rock weathering. In the upstream region, the weathering of igneous and sedimentary rocks plays a dominant role, resulting in high ratios of ions such as Ca, Mg, and HCO3. Additionally, the weathering of igneous rocks in the upper reaches contributes to elevated Si ratio. However, as the river flows downstream, the ratios of Cl and SO4 ions increase greatly due to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discharge of industrial effluents, domestic wastewater, and agricultural runoff. In the downstream areas, the mixing of seawater causes a significant rise in Na and Cl ratios, indicating the influence of seawater on the river water. Regarding heavy metals, their concentrations generally increase from upstream to downstream. Zn and As, in particular, show relatively high levels due to nearby industrial activities and abandoned mines, while other heavy metals exhibit irregular variations depending on the loca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origins of major ions and heavy metals in the Taehwa River,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understanding how rivers respond to natural weathering and human activities.
Keywords the Taehwa River, weathering, human activity, pollution, heavy metal
조덕희 · 김영규*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본 연구는 태화강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하천수의 주요 화학적 조성 변화에 미치는 자연적 요인과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태화강은 주요 산업 도시인 울산으로 흘러 바다로 유하하며,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위적 오염과 암석의 풍화와 같은 자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하천수에 영향을 미친다. 상류 지역에서는 화성암과 퇴적암의 풍화작용이 주요 역할을 하여 Ca, Mg, HCO3 등의 이온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상류의 화성암에 풍화에 의하여 Si이 높은 비를 보였다. 그러나 중류와 하류로 내려가면서 인간 활동으로 인한 Cl, SO4 등의 이온 비가 급격히 증가하며, 이는 산업 배수, 생활 폐수, 농업 폐기물 등의 유입이 그 원인임을 지시하였다. 특히 하류 지역에서는 바닷물의 혼입으로 인해 Na와 Cl의 비율이 급증하여, 하천수가 해수의 영향을 받는 특성을 띠었다. 중금속 농도의 경우, 상류에서부터 하류로 내려갈수록 증가하였으며, Zn과 As는 인근의 산업 활동 또는 폐광산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중금속들은 지점마다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태화강의 주요 이온과 중금속의 공간적 분포와 그 기원을 규명하였으며, 하천이 자연적 풍화 및 인간 활동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주요어 태화강, 풍화, 인간활동, 오염, 중금속
Seon-ok Kim, Sookyun Wang
Econ. Environ. Geol. 2023; 56(3): 229-238Byeong Cheol Song, Young Hun Kim, Jeong Jin Kim
Econ. Environ. Geol. 2024; 57(3): 319-327Sajjad W. Jaafar, Sattar J.Al.Khafaji
Econ. Environ. Geol. 2023; 56(1): 7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