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 Environ. Geol. 2021; 54(1): 1-19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1
https://doi.org/10.9719/EEG.2021.54.1.1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orrespondence to : hss@kigam.re.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orrigendum: Econ. Environ. Geol. 2021 Apr;54(2):309 https://doi.org/10.9719/EEG.2021.54.2.309
This study reports the Ar-Ar dating results for the volcanic rocks from small volcanoes(oreum) of the Hallasan Nature Reserve. According to the age of 40Ar/39Ar, the volcanic activity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about 192 ka ago. The basaltic trachyandesite and trachyte located in the Y valley near the Eorimok in the western part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represent an age of about 191~192 ka, showing the oldest record of volcanic activity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the small volcanoes older than 100 ka are Y Valley in Eorimok area (192±5 and 191±5 ka), Dongsu-Ak (184±19 ka), Mansedongsan (153±5 ka), Janggumok-Orum (135±6 ka), Eoseungsaengak (123±9 ka), Samgagbong (105±2 ka). And the small volcanoes younger than 100 ka are Witbangae-Oreum, Seongneol-Oreum, Muljangol, Yeongsil, Bori-Ak, Witsenueun-Oreum, Witsejokeun-Oreum, Heugbuleun-Oreum, Bangae-Oreum, Albangae-Oreum, Witsebuleun-Oreum, Baengnokdam, Nongo-Ak. According to the eruption of trachytes,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bout 8 volcanic activities. Among them,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trachyte dome, such as Wanggwanneung, Samgakbong, Yeongsil, and Baengnokdam, and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flow or dyke of trachyte. The volcanic activity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northwest area, to in the southern area, and in the eastern area, and finally volcanic activit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Baengnokdam.
Keywords Hallansan Natural Reserve, 40Ar/39Ar age, volcanism, Jeju Island, small volcano(Oreum)
홍세선1,* · 이춘오2 · 임재수1 · 이진영1 · 안웅산3
1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2지질환경재해연구센터 3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이번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 소화산들에 대한 40Ar-39Ar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내 어리목 상수원 부근에 위치하는 현무암질조면안산암 및 조면암이 192 ka 내외로 가장 오래된 연대를 보였으며, 동수악의 알칼리현무암 184 ka 내외, 만세동산의 조면현무암 153 ka 내외, 장구목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35 ka 내외, 어승생악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23 ka 내외, 삼각봉의 조면암 106 ka 내외 등으로 10만년 이상의 연대를 보인다. 10만년 전 이후의 화산활동으로는 윗방애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94 ka, 성널오름의 알칼리현무암 92 ka, 물장올의 전이질현무암 81 ka, 영실조면암 71 ka, 보리악의 조면안산암 73 ka, 윗세누운오름과 윗세족은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에서 각각 76 ka, 93 ka, 흙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60 ka, 방애오름과 알방애오름의 전이질현무암은 각각 59 ka, 83 ka, 백록담의 조면암 47 ka, 한라산 북벽의 조면암 35 ka, 윗세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41 ka, 성널오름을 관입한 조면암 32~43 ka, 동수악 부근 조면암 39 ka, 서중천 지류하천의 조면암 37 ka 내외의 연대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대측정 결과로 추정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화산활동은 약 192 ka에서 홀로세 직전의 17 ka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조면암의 분출시기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최소 약 8회의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중 왕관릉, 삼각봉, 영실, 백록담 등과 같이 조면암 돔이 형성된 4회의 화산활동과 용암류의 흐름 또는 암맥상의 조면암이 산출된 4회의 화산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형성은 지표상에 노출된 용암으로 볼 때 가장 먼저 보호구역 북서부에서 시작되어 남부지역, 동부지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백록담 형성과 관계된 화산활동 등의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어 한라산천연보호구역, 40Ar/39Ar 절대연대, 제주도, 화산활동, 단성화산(오름)
• Volcanoes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one of the World Natural Heritages, have erupted since the last 20 ka.
• The Lavas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consists of alkali basalt, transitional basalt, trachybasalt, basaltic trachyandesite, trachyte.
• By the eruptions of trachytes, at least 8 volcanic activities occurred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제주도는 대륙붕 바다 속의 대륙지각 내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화산활동은 제주도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Koh
현재의 제주도의 모습은 1,950m의 한라산이 섬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제주도 전역에 약 368개의 “오름” 이라 부르는 단성화산들이 산재되어 있다(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1997). 이들은 대부분 분석구, 응회환, 응회구, 마르, 용암돔, 소순상화산의 형태로 분포한다. 이러한 화산들은 과거 기생화산이라고도 불리었으나, 최근의 연구결과 단일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어 제주도는 많은 단성화산체들이 모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Brenna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라는 이름으로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과 함께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들 중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다양한 지질학적 연구(Sohn and Chough, 1992; Hwang
지질조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1:25,000 축척의 지형도와 이 지역에 대한 1:50,000 지질도폭(Park
Table 1 The sampling sites of the volcanic rocks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Jeju Island, Korea
sample no. | rock name | Latitude | Longitude | Elevation(m) | locality | |
---|---|---|---|---|---|---|
1 | HL021 | BTA | 33°23' 39.31" | 126°29' 40.81" | 994m | Eoseungsaeng |
2 | HL023 | BTA | 33°21' 58.81" | 126°31' 29.95" | 1,813m | Janggumok |
3 | HL031 | BTA | 33°21' 37.31" | 126°30' 53.61" | 1,687m | Witsenueun-Oreum |
4 | HL034 | BTA | 33°21' 39.56" | 126°30' 39.17" | 1,695m | Witsejokeun-Oreum |
5 | HL039 | TB | 33°22' 04.92" | 126°30' 21.37" | 1,608m | Manseidongsan |
6 | HL043 | T | 33°21' 44.57" | 126°31' 54.83" | 1,850m | Baengnokdam |
7 | HL055 | TB | 33°21' 36.13" | 126°31' 13.99" | 1,731m | Witsebuleun-Oreum |
8 | HL062 | T | 33°22' 57.70" | 126°30' 16.27" | 1,090m | Eorimok |
9 | HL064 | BTA | 33°23' 19.46" | 126°29' 41.48" | 970m | Eorimok-kyo |
10 | HL065-1 | BTA | 33°24' 41.76" | 126°37' 06.71" | 649m | upper lava of Muljangol Ssediment |
11 | HL065-5 | TB | 33°24' 41.76" | 126°37' 06.71" | 649m | lower lava of Muljangol Ssediment |
12 | HL087 | T | 33°21' 55.78" | 126°31' 53.61" | 1,650m | near Yongjingak |
13 | HL089 | T | 33°22' 27.16" | 126°31' 46.59" | 1,536m | Samgagbong |
14 | HL110 | T | 33°22' 27.81" | 126°35' 41.83" | 1,060m | Seongneol-Oreum |
15 | HL112 | AB | 33°22' 41.67" | 126°35' 53.94" | 1,040m | Seongneol-Oreum |
16 | HL117 | TB | 33°22' 45.03" | 126°33' 50.15" | 1,225m | Heugbuleun-Oreum |
17 | HL127 | TrnB | 33°24' 35.94" | 126°36' 46.74" | 720m | Muljangol |
18 | HL136 | T | 33°21' 57.71" | 126°36' 22.55" | 814m | Seongneol-Oreum |
19 | HL143 | TrnB | 33°21' 38.60" | 126°37' 30.60" | 655m | Dongsuak |
20 | HL145 | T | 33°21' 40.26" | 126°37' 23.81" | 630m | near Dongsuak |
21 | HL150 | BTA | 33°20' 15.00" | 126°36' 07.20" | 598m | near Suak valley |
22 | HL153 | TA | 33°20' 25.36" | 126°35' 04.88" | 733m | Suak-Gil, 733m |
23 | HL163 | TA | 33°20' 49.30" | 126°35' 55.30" | 644m | Boriak |
24 | HL172 | T | 33°21' 19.51" | 126°30' 00.57" | 1,500m | Yeongsil |
25 | HL173 | TB | 33°21' 29.20" | 126°36' 51.93" | 738m | Nongoak |
26 | HL178 | TB | 33°22' 16.90" | 126°37' 24.56" | 640m | upper lava of Seojung-cheon Sediment |
27 | HL186 | T | 33°22' 19.90" | 126°37' 12.78" | 682m | Seojung-Cheon |
28 | HL190 | TB | 33°21' 54.66" | 126°33' 56.92" | 1,317m | upper lava of charcoal |
29 | HL200 | TrnB | 33°19' 20.24" | 126°32' 42.14" | 720m | Yeong-cheon |
30 | HL204 | TA | 33°18' 34.24" | 126°30' 57.21" | 729m | Akgeun-cheon |
31 | HL209 | TA | 33°18' 33.01" | 126°29' 10.14" | 698m | Gungsan-cheon |
32 | HL211 | BTA | 33°18' 49.60" | 126°28' 30.91" | 710m | Goji-cheon |
33 | HL212 | TrnB | 33°21' 15.36" | 126°31' 39.16" | 1,700m | Bangae-Oreum |
34 | HL213 | BTA | 33°21' 23.57" | 126°31' 49.06" | 1,730m | Witbangae-Oreum |
35 | HL216 | TrnB | 33°20' 50.81" | 126°31' 47.78" | 1,585m | Albangae-Oreum |
36 | HL219 | T | 33°19' 23.76" | 126°32' 02.14" | 850m | Dongheung-cheon |
37 | HL220 | TrnB | 33°19' 06.47" | 126°32' 21.78" | 715m | Dongheung-cheon |
38 | HL231 | BTA | 33°20' 20.24" | 126°28' 57.81" | 1,028m | Dosun-cheon |
39 | HL233 | TrnB | 33°20' 56.83" | 126°32' 21.98" | 1,510m | Donnaeko, 1,510m |
40 | HL236 | TB | 33°19' 51.25" | 126°33' 22.82" | 930m | Donnaeko, 910m |
용암류의 암석명은 TAS 분류도 [Total Alkali (Na2O+K2O) vs SiO2] (Le Maitre
Table 2 Major element composi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area(unit : wt.%)
no. | HL 021 | HL 023 | HL 031 | HL 034 | HL 039 | HL 043 | HL 055 | HL 062 | HL 065-1 | HL 065-5 | HL 087 | HL 089 | HL 110 | HL 112 | HL 117 | HL 127 | HL 136 | HL 143 | HL 145 | HL 150 | HL 153 | HL 163 | HL 172 | HL 173 | HL 178 | HL 186 | HL 190 | HL 200 | HL 204 | HL 209 | HL 211 | HL 212 | HL 213 | HL 216 | HL 219 | HL 220 | HL 231 | HL 064 | HL 233 | HL 236 |
---|---|---|---|---|---|---|---|---|---|---|---|---|---|---|---|---|---|---|---|---|---|---|---|---|---|---|---|---|---|---|---|---|---|---|---|---|---|---|---|---|
rock | BTA | BTA | BTA | BTA | TB | T | TB | T | BTA | TB | T | T | T | AB | TB | TrnB | T | TrnB | T | BTA | TA | TA | T | TB | TB | T | TB | TrnB | TA | TA | BTA | TrnB | BTA | TrnB | T | TrnB | BTA | BTA | BA | TB |
SiO2 | 51.22 | 50.98 | 52.64 | 53.79 | 50.41 | 65.02 | 50.74 | 61.77 | 53.88 | 49.53 | 66.77 | 64.88 | 63.75 | 49.35 | 50.64 | 49.38 | 64.05 | 49.00 | 64.10 | 50.61 | 58.09 | 57.17 | 65.93 | 50.89 | 49.83 | 63.69 | 50.77 | 50.36 | 59.37 | 60.39 | 51.03 | 51.17 | 51.15 | 50.36 | 63.11 | 50.51 | 53.46 | 51.41 | 51.52 | 50.31 |
TiO2 | 2.12 | 2.33 | 2.15 | 1.93 | 2.31 | 0.37 | 2.04 | 0.7 | 2.03 | 2.4 | 0.24 | 0.37 | 0.44 | 2.78 | 2.77 | 2.56 | 0.45 | 2.37 | 0.45 | 2.45 | 1.26 | 1.35 | 0.25 | 2.54 | 2.57 | 0.47 | 2.35 | 2.45 | 0.97 | 1.06 | 2.71 | 2.65 | 2.37 | 2.75 | 0.62 | 2.44 | 2.07 | 2.47 | 2.31 | 2.47 |
Al2O3 | 16.68 | 16.91 | 16.99 | 16.66 | 16.15 | 16.77 | 17.61 | 16.95 | 16.07 | 16.08 | 16.05 | 17.19 | 16.35 | 16.39 | 15.63 | 15.02 | 15.43 | 14.07 | 16.13 | 16.02 | 16.44 | 16.8 | 16.31 | 15.6 | 15.15 | 16.58 | 15.62 | 14.59 | 16.72 | 15.9 | 14.99 | 15.63 | 15.92 | 15.77 | 16.18 | 14.65 | 16.29 | 16.50 | 15.35 | 15.47 |
Fe2O3 | 10.88 | 10.97 | 10.94 | 10.64 | 11.18 | 4.33 | 9.86 | 6.33 | 11.26 | 11.75 | 3.45 | 3.98 | 5.45 | 12.47 | 12.23 | 12.56 | 5.62 | 12.26 | 5.61 | 11.35 | 9.16 | 9.08 | 3.34 | 12 | 12.01 | 5.78 | 11.41 | 12.11 | 7.83 | 8.51 | 12.6 | 11.56 | 11.13 | 11.91 | 6.19 | 11.96 | 10.98 | 11.68 | 11.54 | 11.75 |
MgO | 4.18 | 4.83 | 3.13 | 2.87 | 6.06 | 0.22 | 5.02 | 0.69 | 2.87 | 6.16 | 0.22 | 0.4 | 0.49 | 4.97 | 5.13 | 7.19 | 0.47 | 8.34 | 0.5 | 4.65 | 1.76 | 1.96 | 0.26 | 5.14 | 6.36 | 0.37 | 5.75 | 6.91 | 1.24 | 1.18 | 4.7 | 4.71 | 5.03 | 4.71 | 0.71 | 6.81 | 3.01 | 4.06 | 4.99 | 5.52 |
MnO | 0.16 | 0.15 | 0.16 | 0.16 | 0.15 | 0.12 | 0.14 | 0.15 | 0.17 | 0.16 | 0.1 | 0.1 | 0.13 | 0.16 | 0.16 | 0.17 | 0.13 | 0.17 | 0.13 | 0.16 | 0.16 | 0.16 | 0.09 | 0.16 | 0.16 | 0.14 | 0.16 | 0.17 | 0.16 | 0.17 | 0.18 | 0.16 | 0.16 | 0.17 | 0.13 | 0.17 | 0.17 | 0.16 | 0.16 | 0.17 |
CaO | 6.29 | 7.42 | 5.85 | 5.55 | 7.89 | 1.54 | 8.24 | 2.54 | 5.83 | 7.72 | 1.05 | 2.04 | 2.11 | 7.42 | 7.58 | 8.34 | 1.92 | 8.53 | 2.1 | 7.97 | 4.02 | 4.66 | 1.41 | 7.47 | 7.94 | 1.55 | 7.64 | 7.99 | 3.38 | 3.6 | 7.15 | 8.25 | 7.32 | 8.37 | 2.42 | 8.08 | 5.37 | 7.33 | 8.36 | 7.56 |
Na2O | 3.87 | 3.69 | 4.41 | 4.7 | 3.45 | 5.84 | 3.62 | 5.53 | 4.48 | 3.58 | 5.96 | 5.99 | 5.72 | 3.38 | 3.76 | 3.24 | 5.86 | 3.01 | 5.91 | 3.65 | 5.12 | 5.04 | 5.98 | 3.64 | 3.51 | 5.93 | 3.66 | 3.28 | 5.29 | 5.25 | 3.77 | 3.58 | 3.73 | 3.43 | 5.51 | 3.31 | 4.43 | 4.00 | 3.43 | 3.39 |
K2O | 1.97 | 1.66 | 2.35 | 2.52 | 1.57 | 5.26 | 1.46 | 4.38 | 2.17 | 1.35 | 5.59 | 4.43 | 4.32 | 1.42 | 1.63 | 1.25 | 4.38 | 1.18 | 4.35 | 1.68 | 3.09 | 2.84 | 5.27 | 1.54 | 1.53 | 4.51 | 1.69 | 1.35 | 3.44 | 3.16 | 1.69 | 1.33 | 1.75 | 1.23 | 4.28 | 1.34 | 2.49 | 1.63 | 1.27 | 1.63 |
P2O5 | 0.5 | 0.61 | 0.8 | 0.85 | 0.52 | 0.10 | 0.53 | 0.29 | 0.98 | 0.51 | 0.04 | 0.12 | 0.14 | 0.58 | 0.56 | 0.46 | 0.14 | 0.49 | 0.14 | 0.54 | 0.49 | 0.53 | 0.06 | 0.55 | 0.57 | 0.13 | 0.55 | 0.47 | 0.39 | 0.38 | 0.82 | 0.54 | 0.52 | 0.55 | 0.21 | 0.47 | 0.91 | 0.77 | 0.44 | 0.56 |
Ig.loss | 1.85 | 0.18 | 0.29 | -0.28 | -0.13 | 0.22 | 0.4 | 0.36 | -0.06 | 0.39 | 0.19 | 0.16 | 0.85 | 1.24 | -0.36 | -0.07 | 0.23 | 0.14 | 0.16 | 0.53 | -0.06 | -0.15 | 0.66 | -0.07 | -0.12 | 0.63 | -0.12 | -0.35 | 0.81 | 0.07 | -0.17 | -0.07 | 0.48 | 0.47 | 0.36 | -0.25 | 0.41 | -0.42 | 0.17 | 0.68 |
total | 99.72 | 99.73 | 99.71 | 99.39 | 99.56 | 99.60 | 99.66 | 99.69 | 99.68 | 99.63 | 99.66 | 99.66 | 99.75 | 100.16 | 99.73 | 100.10 | 98.68 | 99.56 | 99.58 | 99.61 | 99.53 | 99.44 | 99.56 | 99.46 | 99.51 | 99.78 | 99.48 | 99.33 | 99.6 | 99.67 | 99.47 | 99.51 | 99.56 | 99.72 | 99.72 | 99.49 | 99.59 | 99.59 | 99.54 | 99.51 |
Ar-Ar 연대측정에서 중성자 조사는 미국 Oregon 대학의 원자로를 이용하였으며, Ar-Ar 연대는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원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저 발생장치(Fusions 10.6, Photon Machines)와 다검출기 불활성기체 질량분석기(ARGUS VI noble gas mass spectrometer, Therm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에 대한 자세한 과정은 Kim
윗세붉은오름(HL055) : 윗세오름은 한라산 위에 세 개의 봉우리가 나란히 이어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세 오름 중 동쪽편의 윗세오름 대피소가 위치한 오름을 윗세붉은오름, 중간을 윗세누운오름, 가장 서쪽편의 오름은 윗세족은오름이라 한다. 윗세붉은오름은 해발고도 1,740m, 비고 75m, 둘레는 2,113m로 다른 두 오름과는 달리 정상부가 분석구로 이루어져 있다(Fig. 3(E)). 윗세붉은오름사면에서는 분석과 용암이 교호하여 산출된다.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Table 3 40Ar-39Ar age of the volcanic rocks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Jeju Island, Korea. (plateau age. * : integrated age)
sample no. | rock name | material | % 39Ar | step | integrated age(ka) | plateau age(ka) |
---|---|---|---|---|---|---|
HL021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122 ± 11 | 123 ± 9 |
HL023 | BTA | groundmass | 56.2 | 6/12 | 157 ± 5 | 135 ± 6 |
HL031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76 ± 5 | 76 ± 4 |
HL034 | BTA | groundmass | 79.1 | 6/12 | 93 ± 4 | - |
HL039 | TB | groundmass | 79.1 | 6/12 | 148 ± 5 | 153 ± 5 |
HL043 | T | groundmass | 40.1 | 3/12 | 47 ± 4 | 46 ± 5 |
HL055 | TB | groundmass | 66.2 | 7/12 | 69 ± 6 | 41 ± 5 |
HL062 | T | groundmass | 96.9 | 9/12 | 196 ± 6 | 191 ± 5 |
HL064 | BTA | groundmass | 58.7 | 8/12 | 193 ± 12 | 192 ± 11 |
HL065-1 | BTA | groundmass | 100 | 10/11 | 76 ± 8 | 73 ± 7 |
HL065-5 | TB | groundmass | 100 | 8/8 | 117 ± 16 | 103 ± 13 |
HL087 | T | groundmass | 100 | 6/7 | 31 ± 3 | 32 ± 2 |
HL089 | T | groundmass | 100 | 6/7 | 103 ± 2 | 105 ± 2 |
HL110 | T | groundmass | 100 | 12/12 | 35 ± 5 | 32 ± 4 |
HL112 | AB | groundmass | 70.3 | 5/7 | 62 ± 15 | 92 ± 16 |
HL117 | TB | groundmass | 100 | 8/8 | 55 ± 9 | 60 ± 8 |
HL127 | TrnB | groundmass | 100 | 9/11 | 93 ± 10 | 81 ± 10 |
HL136 | T | groundmass | 100 | 12/12 | 45 ± 5 | 43 ± 4 |
HL143 | TrnB | groundmass | 100 | 11/12 | 200 ± 20 | 184 ± 19 |
HL145 | T | groundmass | 100 | 10/12 | 38 ± 4 | 40 ± 3 |
HL150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35 ± 10 | 35 ± 8 |
HL153 | TA | groundmass | 84 | 9/12 | 86 ± 6 | 77 ± 5 |
HL16 | TA | groundmass | 100 | 11/12 | 77 ± 5 | 73 ± 5 |
HL172 | T | groundmass | 94.3 | 11/12 | 73 ± 2 | 71 ± 2 |
HL173 | TB | groundmass | 100 | 12/12 | 38 ± 13 | 43 ± 12 |
HL178 | TB | groundmass | 71.3 | 5/12 | 157 ± 19 | 22 ± 18 |
HL186 | T | groundmass | 67.8 | 8/13 | 34 ± 3 | 30 ± 2 |
HL190 | TB | groundmass | 52.7 | 5/12 | 71 ± 5 | 22 ± 6 |
HL200* | TrnB | groundmass | 86 ± 16 | - | ||
HL204 | TA | groundmass | 71.5 | 7/12 | 122 ± 10 | 102 ± 9 |
HL209 | TA | groundmass | 100 | 10/12 | 110 ± 3 | 111 ± 2 |
HL211* | BTA | groundmass | 84 ± 11 | - | ||
HL212 | TrnB | groundmass | 100 | 11/12 | 62 ± 8 | 59 ± 6 |
HL213 | BTA | groundmass | 84.2 | 8/12 | 92 ± 5 | 94 ± 4 |
HL216 | TrnB | groundmass | 54 | 6/12 | 110 ± 20 | 83 ± 14 |
HL219* | T | groundmass | 88 ± 3 | - | ||
HL220* | TrnB | groundmass | 95 ± 10 | - | ||
HL231* | BTA | groundmass | 53 ± 10 | - | ||
HL233 | BA | groundmass | 100 | 12/12 | 100 ± 30 | 90 ± 20 |
HL236 | TB | groundmass | 57.1 | 5/12 | 50 ± 20 | 40 ± 20 |
윗세누운오름(HL031) : 윗세누운오름은 윗세오름 중 중간에 위치한다. 윗세누운오름은 해발고도 1,711m, 비고 71m, 둘레는 1,384m 이다. 대부분은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름 중간 부분과 정상부는 용암이 분포한다(Fig. 3(G)).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윗세족은오름(HL034) : 윗세오름의 세 오름 중 가장 남쪽에 있는 윗세족은오름(Fig. 3(F))은 해발고도 1,699m, 비고 64m, 둘레 2,113m이다. 오름의 사면은 분석이 주로 산출되며, 정상부에는 용암이 산출된다. 용암의 암색은 짙은 회색을 띄며, 기공이 발달하였으며, 유상구조가 관찰된다.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만세동산(HL039) : 만세동산은 어리목탐방로 중간부에 위치하며, 해발고도 1,606m, 비고 88m이다. 만세동산의 북-남-남서 방향은 가파른 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남동부로는 평원 형태의 매우 완만한 지형을 보인다(Fig. 3(D)).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장구목오름(HL023) : 한라산 정상에서 북서부에 위치한 장구목오름은 백록담 다음으로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한 소화산체로 그 높이가 1,813m이다(Fig. 3(C)).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어승생악(HL021) : 한라산 정상에서 북서쪽으로 약 6km 지점에 위치한 어승생악은 고도 약 1,169m이며, 비고 약 350m이다. 어승생악의 정상은 분석이 분포하며, 어리목휴게소에서 어승생악으로 올라가는 탐방로 근처에는 용암이 관찰된다(Fig. 3(B)).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방애오름(HL212), 윗방애오름(HL213), 알방애오름(HL216) : 방애오름 구간은 백록담 남쪽의 윗방애오름, 방애오름, 알방애오름을 포함한다. 한라산의 남사면에는 위치한 방애오름(Fig. 3(H))은 고도 1,699m, 윗방애오름 (Fig. 3(I))은 고도는 1,747m, 알방애오름(Fig. 3(J))은 고도는 1,585m이다. 이들 세 오름들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영실(HL172) : 한라산 백록담 서남쪽에 위치한 영실은 해발고도 1,639m, 비고 389m로 병풍바위 또는 영실기암으로 부르기도 한다. 영실은 동쪽과 북쪽은 높은 절벽을 이루고 남서쪽으로 열개되어 있는 초승달 형태를 띈다(Fig. 4(H)).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삼각봉(HL089) : 관음사 탐방로에서 한라산 백록담 방향으로 약 4.9km 지점에 위치한 삼각봉은 해발 1,696m 이며, 용암돔을 이룬다(Fig. 4(G)). 1:5만 서귀포-하효리 지질도(Park
흙붉은오름(HL117) : 한라산 동쪽부에서는 가장 높고 백록담에서 가장 가까운 흙붉은오름은 해발고도 1,381m, 비고 146m, 둘레 3,403m이며, 동쪽으로 입구가 벌어진 말굽형 분화구 형태를 보인다(Fig. 4(D)). 흙붉은오름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성널오름(HL112, HL110, HL136) : 한라산 동쪽 사면에서는 가장 큰 소화산체인 성널오름은 3개의 분화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름 사면에는 분석층이 두껍게 분포한다(Fig. 4(B)).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논고악(HL173) : 논고악은 높이 858m, 비고 143m인 오름으로, 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분화구 형태를 보이는 산정화구이다(Fig. 4(C)).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동수악(HL143, HL145) : 남원읍 한남리에 위치한 동수악은 해발고도 약 700m, 비고 100m, 둘레 약 1,800여m 이다(Fig. 4(A)).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보리악(HL163) : 보리악은 논고교에서 서쪽으로 약 1km 지점에 위치한 원추형 화산으로 해발고도는 739.6m, 비고 130m, 둘레는 약 2,800m이다(Fig. 4(E)).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물장올(HL127, HL065-1, HL065-5) : 물장올은 한라산 동쪽 사면에 위치한 화구호를 가진 분석구이다. 물장올의 해발고도는 938m이며, 비고 120m, 둘레 3,094m이다(Fig. 4(F)). 이 오름은 타원형에 가까운 원추형 화산체이나 북동쪽 사면에 용암이 분출되어 있다. 물장올 지역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물장올 동쪽 계곡부는 약 1~2m 두께의 화산쇄설성 퇴적층으로 구성된 굴전동역암(Park
어리목상수원 부근(HL062, HL064) : 어리목상수원은 어리목휴게소의 무수천과 광령천이 합류하는 곳에 위치한다(Fig. 3(A)). 이 지역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용진각 계곡(HL087) : 용진각 계곡 최상류의 백록담 북부 조면암 돔 절벽을 이루는 용암류(HL087)의 주원소 성분 조성은 SiO2 함량이 66.8 wt.%, Na2O+K2O의 함량이 11.6 wt.%로 조면암에 해당된다(Table 2, Fig. 2). 한라산 북벽 조면암의 40Ar/39Ar 연대는 32±2 ka(Table 3, Fig. 6)이다.
사라오름 남쪽 하천계곡(HL190) : 이 지역은 사라오름과 입석오름 사이에 발달된 계곡들 중 첫 번째 하천계곡으로 해발고도로는 약 1,500m~1,000m의 구간이다.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Table 4 Radiocarbon dating result for charcoal from the intercalated sediment layer between lavas of near Sara-Oreum,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sample no | δ13C‰ | 14C age (yr BP) | calibrated age (Cal yr BP) | material |
---|---|---|---|---|
HL190 | -23.9 | 23,921±104 | 27,980±206 | charcoal |
서중천 지역(HL178, HL186) :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한라산 둘레길(수악길 구간 : HL150, HL153) : 이 지역은 한라산 둘레길 중 신례천 상류 수악교 근처의 둘레길 입구(지방도 1131도로에서 접근)에서 돈내코 탐방로 입구까지 조성된 약 4km 구간이다. 이 지역의 위쪽 사면에는 입석오름(해발 1,189m)이 분포하고 있으며, 아래쪽 사면으로는 선돌서원, 선덕사가 위치한다. 1:5만 지질도(Park
둘레길의 초입은 침상장석현무암류가 분포하는데, 둘레길 북쪽에 분포하는 반상휘석장석현무암류와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이후 둘레길 중간 부분에는 조면안산암류(HL153)가 분포하는데 침상장석현무암류에 의해 피복된 것으로 판단된다. 경계부에서는 암괴상으로 산발적인 분포를 보이나 하천 계곡에서는 아아 용암류로 확인된다. 침상장석현무암의 주원소성분의 조성은 SiO2 함량이 50.61 wt.%, Na2O+K2O 함량이 5.33 wt.%로 현무암질조면안산암에 속하며, 둘레길 중간지역의 HL153은 SiO2 함량이 58.09 wt.%, Na2O+K2O 함량이 8.21 wt.%로 조면안산암에 속한다(Table 2, Fig. 2). 침상 장석 조직을 갖는 현무암질조면안산암(HL150)의 40Ar/39Ar 연대는 35±8 ka, 조면안산암(HL153)의 40Ar/39Ar 연대는 77±5 ka 이다(Table 3, Fig. 6).
돈내코 탐방로(HL233, HL236) : 이 구간은 오름이 분포하지는 않으며, 1:5만 지질도에서는 백록담조면현무암으로 분류하고 있다(Park
한라산 둘레길(동백길 구간 : HL200, HL204, HL209, HL211, HL219, HL220) : 영천교차점에서 시오름 구간은 장석이 반정과 침상 결정으로 혼재된 현무암이 주로 관찰되며, 시오름에서 도순천 교차점까지는 장석 반정의 크기는 좀 더 커지나 양적으로는 적어지며, 색상이 차이나는 등 좀더 다양한 현무암이 분포하고 있다. 5만 지질도에서 돈내코-시오름 구간은 백록담조면현무암이, 시오름-도순천 구간은 주로 법정동조면현무암과 윗세오름조면현무암이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영천과 둘레길 교차지점(HL200)부터 동흥천(HL220)을 지나 시오름 근처까지는 SiO2 함량이 48.99~51.02 wt.%, Na2O+K2O 함량이 4.33~4.77 wt.%(Table 2, Fig. 2)로 비교적 조성이 균질하며, 전이질현무암이 우세하다. 동흥천 상류 구간(Fig. 4(I))으로는 조면암이 하천 침식면을 따라 계곡 지형을 이루어 분포하며, 계곡의 양쪽 정상부는 화산분출물과 용암류의 깨진 암괴를 덮혀 있어 조면암의 분출 정치 이후 발생한 화산분화의 산물에 의해 피복된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구간 내에서 하류 지역에 비해 상류지역의 조면암은 화강암의 박리와 같은 판상절리가 발달하고 있다. 이 지역의 조면암은 치밀질이고 비반상조직을 보인다. 조면암은 SiO2 함량이 63.30 wt.%, Na2O+K2O 함량이 9.99 wt.% 내외의 조성을 보인다(Table 2, Fig. 2).
시오름-법정사까지의 구간은 대부분 장석 반정이 우세한 용암이 주로 산출되지만 궁산천에서는 옅은 회색을 띄는 용암이 분포한다(Fig. 4(J)). 이 구간은 SiO2 함량이 50.31~60.39 wt.%, Na2O+K2O 함량이 4.88~8.41 wt.%로 다양한 조성을 보이는데 악근천 근처(HL204)는 조면안산암 조성을 나타내며, 궁산천으로 가면서 조면현무암, 소레아이트질현무암의 조성을 보인다. 궁산천의 용암(HL209)은 조면안산암 조성을 나타내며, 궁산천의 서쪽편에서 고지천(HL211)까지는 현무암질조면산안산암 조성을 나타낸다(Table 2, Fig. 2). 영천 교차점의 용암(HL200)의 40Ar/39Ar 연대는 86±16 ka, 동흥천 교차점의 용암(HL220)의 40Ar/39Ar 연대는 95±10 ka, 동흥천 상류 조면암(HL219)의 40Ar/39Ar 연대는 88±3 ka, 악근천 교차점의 용암(HL204)의 40Ar/39Ar 연대는 102±9 ka, 궁산천 교차점의 용암(HL209)의 40Ar/39Ar 연대는 111±2 ka, 고지천 교차점의 용암(HL211)의 40Ar/39Ar 연대는 84±11 ka이다(Table 3, Fig. 6).
도순천(HL231) : 이 지역은 영실제1교에서 법정사에 이르는 구간으로 크게 파호이호이 용암류와 아아 용암류의 두 종류가 분포하는데 파호이호이 용암류가 기저를 이루고 있다. 이 용암의 상부에는 기공이 많은 다공질의 특징을 보이며, 용암류의 두께는 2~5m로 두 매의 용암단위가 확인되며, 반상휘석장석현무암의 암상을 나타낸다. 상부에 피복되는 아아 용암류와의 접촉부는 상류에서는 직접 접촉하나 하류로 감에 따라 아아 용암류의 클링커층과 접하게 된다. 도순천 지역의 용암(HL231)은 SiO2 함량이 53.46 wt.%, Na2O+K2O 함량이 6.92 wt.%로 현무암질조면안산암 조성을 나타낸다(Table 2, Fig. 2). 도순천(HL231) 용암의 40Ar/39Ar 연대는 53±10 ka이다(Table 3, Fig. 6).
백록담(HL043) : 한라산 정상부는 백록담을 중심으로 서쪽은 한라산조면암, 동쪽은 백록담조면현무암으로 구분된다(Ahn and Hong, 2017). Koh
Koh
10만 년 전 이후의 화산활동도 천연보호구역 내에서 매우 활발히 발생하였음을 보여준다. 초기 성널오름(92±16 ka), 윗방애오름(94±4 ka), 알방애오름(83±14 ka), 물장올(81±10 ka), 윗세누운오름(76±4 ka), 영실조면암(71±2 ka), 보리악(73±5 ka), 방애오름(59±6 ka), 흙붉은오름(60±8 ka) 등은 10만년~5만년 사이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백록담(47±4 ka), 논고악(43±12 ka), 윗세붉은오름(41±5 ka), 윗세족은오름(30±2 ka), 동수악 부근 조면암(40±3 ka), 성널오름 부근 조면암(43±4 ka, 32±4 ka), 서중천 지류 하천의 조면암(30±2 ka), 백록담 동릉 일대의 조면현무암(16±4 ka, Koh,
그러나 이번의 추가적인 연대측정 결과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일대에서의 화산활동기를 좀더 자세히 구분할 수 있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전 지역에서 조면암들이 관찰되며, 이들에 대한 연대결과로 보면 191 ka, 134 ka, 105 ka, 88 ka, 70 ka, 47ka, 40 ka, 30 ka 등 약 8번의 화산활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서 가장 오래된 조면암은 어리목상수원 일대의 용암(191 ka)이다. 그 이후 왕관릉(134 ka), 삼각봉(105 ka), 동흥천 상류(88 ka), 영실(70 ka), 백록담(47 ka), 성널오름 남동부와 동수악 부근(40 ka), 용진각 계곡-성널오름 북부-서중천 지류하천(30 ka) 등의 조면암이 서로 다른 시기의 화산 활동 시기를 보이고 있다. 이들 중 돔의 형태를 보이는 조면암은 왕관릉, 삼각봉, 영실, 용진각계곡, 백록담들이며, 나머지 조면암들은 층상 형태나 암맥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시간적으로 보면 연대가 젊어질수록 조면암의 산출이 빈번해짐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3만 년~5만 년 사이에 조면암의 빈번하게 분출되었음이 연대자료에서 확인된다. 지금까지의 연대자료로 추정하면 어리목상수원 조면암 분출에서 그 이후의 왕관릉 분출까지는 약 6만년의 시간간격을 보이지만 그 이후로는 왕관릉 조면암에서 삼각봉조면암 분출까지는 약 3만 년, 삼각봉조면암에서 동흥천 상류 조면암 출현까지는 약 2만년, 그 이후의 영실조면암 분출까지는 약 2만 년의 시간 간격으로 보이며, 영실조면암에서 백록담의 조면암까지는 약 2만 년의 시간 간격을 보인다. 그 이후로는 약 1만 년의 시간 간격을 보여 조면암의 분출 간격이 연대가 젊어질수록 짧아짐을 알 수 있다.
Fig. 7에 현재까지 발표된 제주도의 육상 노두에서 채취된 현무암들의 40Ar/39Ar 연대들을 해발고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약 90만년 전부터 20만년 전까지의 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주도의 화산활동은 산발적이지만 20만년 전 이후부터 홀로세까지의 화산활동은 제주도의 육상에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Koh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특히 50 ka 이후 분출된 화산들이 다수 포함되는데 40Ar/39Ar 연대 측정법으로는 정확한 연대를 정의하기에는 오차범위가 큰 것이 사실이다. 논고악, 서중천퇴적층 상부, 물장올퇴적층 상부 등의 용암의 40Ar/39Ar 연대는 오차범위가 비교적 크고 실제 하부 퇴적층의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 탄소연대보다 더 오래된 연대값을 보이고 있다. Ahn
40Ar/39Ar 연대 분석이 실시된 화산암들의 위치(Fig. 8)는 1:5만 서귀포-하효리 지질도에 의하면 법정동조면현무암 및 분석구(HL039, HL021, HL204, HL034, HL211, HL031) 윗세오름조면현무암 분석구(HL023, HL213, HL216, HL212, HL055), 굴전동역암(HL065-5, HL065-1), 물장올조면현무암 분석구(HL143, HL127, HL173), 백록담조면현무암(HL220, HL200, HL231, HL150, HL190), 성널오름조면현무암 및 분석구(HL112, HL110), 시오름 조면현무암 및 분석구(HL153, HL117), 한라산조면암(HL043, HL209, HL089, HL219, HL172, HL136, HL145, HL087, HL186, HL178), 해안동조면현무암(HL062), 보리악현무암(HL163) 분포지역에 해당된다. 지질도에서는 동일한 층준으로 분류되었지만 실제 연대측정결과를 보면 최대 10만년 이상의 분출시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서로 다른 시기의 화산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질도에서는 수직적 층서 관계 및 서로 다른 분석구에서의 중심 분출형태를 기준으로 해석하여 암층을 구분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시기를 보이는 조면암의 돔의 형성 등을 고려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19만년 이후 지속적인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화산지대로 보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한라산을 포함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완전한 화산활동사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심부 시추를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어승생, 장구목오름, 윗세오름, 방애오름, 성널오름, 동수악, 보리악, 영실, 논고악 등 오름들과 그 주변 용암들에서 채취된 39개의 용암류에 대한 전암 주성분조성과 40Ar/39Ar 연대를 분석하고 이를 보고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용암조성은 알칼리현무암-전이질현무암-조면현무암-현무암질조면안산암-조면안산암-조면암이다.
40Ar/39Ar 연대 측정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약 19만 년 이후 홀로세 직전까지 지속적인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면암의 분출시기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최소 약 8회의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중 왕관릉, 삼각봉, 영실, 백록담 등 조면암 돔이 형성된 4회의 화산활동과 암맥상의 조면암이 산출된 4회의 화산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내 현재의 한라산의 형태는 지표상의 노출상태로 보아 가장 먼저 보호구역 북서부에서 시작되어 남부지역의 화산활동, 그리고 동부지역의 화산활동, 마지막으로 백록담 형성과 관계된 화산활동 등의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좀더 정확한 형성 과정을 밝히기 위해서는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서의 심부 시추를 통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 분포하는 용암류의 층서와 명명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1:5,000의 정밀지질도를 재작성하여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지질계통을 확실히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문화재청이 출연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가 지원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수행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지형, 식생, 기후 기초학술조사”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주요과제(국토지질조사 및 지질도·지질주제도 발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논문심사에서 세심한 검토와 조언을 하여 주신 심사위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Econ. Environ. Geol. 2021; 54(1): 1-19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1 https://doi.org/10.9719/EEG.2021.54.1.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Sei Sun Hong1,*, Choon Oh Lee2, Jaesoo Lim1, Jin Young Lee1, Ung San Ahn3
1Geologic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34132, Republic of Korea
2Geo-Environmental Hazard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34132, Republic of Korea
3World Heritage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Government, Jeju 63341,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hss@kigam.re.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orrigendum: Econ. Environ. Geol. 2021 Apr;54(2):309 https://doi.org/10.9719/EEG.2021.54.2.309
This study reports the Ar-Ar dating results for the volcanic rocks from small volcanoes(oreum) of the Hallasan Nature Reserve. According to the age of 40Ar/39Ar, the volcanic activity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about 192 ka ago. The basaltic trachyandesite and trachyte located in the Y valley near the Eorimok in the western part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represent an age of about 191~192 ka, showing the oldest record of volcanic activity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the small volcanoes older than 100 ka are Y Valley in Eorimok area (192±5 and 191±5 ka), Dongsu-Ak (184±19 ka), Mansedongsan (153±5 ka), Janggumok-Orum (135±6 ka), Eoseungsaengak (123±9 ka), Samgagbong (105±2 ka). And the small volcanoes younger than 100 ka are Witbangae-Oreum, Seongneol-Oreum, Muljangol, Yeongsil, Bori-Ak, Witsenueun-Oreum, Witsejokeun-Oreum, Heugbuleun-Oreum, Bangae-Oreum, Albangae-Oreum, Witsebuleun-Oreum, Baengnokdam, Nongo-Ak. According to the eruption of trachytes,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bout 8 volcanic activities. Among them,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trachyte dome, such as Wanggwanneung, Samgakbong, Yeongsil, and Baengnokdam, and 4 volcanic activities are related with flow or dyke of trachyte. The volcanic activity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was started from northwest area, to in the southern area, and in the eastern area, and finally volcanic activit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Baengnokdam.
Keywords Hallansan Natural Reserve, 40Ar/39Ar age, volcanism, Jeju Island, small volcano(Oreum)
홍세선1,* · 이춘오2 · 임재수1 · 이진영1 · 안웅산3
1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2지질환경재해연구센터 3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이번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내 소화산들에 대한 40Ar-39Ar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내 어리목 상수원 부근에 위치하는 현무암질조면안산암 및 조면암이 192 ka 내외로 가장 오래된 연대를 보였으며, 동수악의 알칼리현무암 184 ka 내외, 만세동산의 조면현무암 153 ka 내외, 장구목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35 ka 내외, 어승생악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123 ka 내외, 삼각봉의 조면암 106 ka 내외 등으로 10만년 이상의 연대를 보인다. 10만년 전 이후의 화산활동으로는 윗방애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 94 ka, 성널오름의 알칼리현무암 92 ka, 물장올의 전이질현무암 81 ka, 영실조면암 71 ka, 보리악의 조면안산암 73 ka, 윗세누운오름과 윗세족은오름의 현무암질조면안산암에서 각각 76 ka, 93 ka, 흙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60 ka, 방애오름과 알방애오름의 전이질현무암은 각각 59 ka, 83 ka, 백록담의 조면암 47 ka, 한라산 북벽의 조면암 35 ka, 윗세붉은오름의 조면현무암 41 ka, 성널오름을 관입한 조면암 32~43 ka, 동수악 부근 조면암 39 ka, 서중천 지류하천의 조면암 37 ka 내외의 연대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대측정 결과로 추정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화산활동은 약 192 ka에서 홀로세 직전의 17 ka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조면암의 분출시기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최소 약 8회의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중 왕관릉, 삼각봉, 영실, 백록담 등과 같이 조면암 돔이 형성된 4회의 화산활동과 용암류의 흐름 또는 암맥상의 조면암이 산출된 4회의 화산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형성은 지표상에 노출된 용암으로 볼 때 가장 먼저 보호구역 북서부에서 시작되어 남부지역, 동부지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백록담 형성과 관계된 화산활동 등의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어 한라산천연보호구역, <sup>40</sup>Ar/<sup>39</sup>Ar 절대연대, 제주도, 화산활동, 단성화산(오름)
• Volcanoes of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one of the World Natural Heritages, have erupted since the last 20 ka.
• The Lavas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consists of alkali basalt, transitional basalt, trachybasalt, basaltic trachyandesite, trachyte.
• By the eruptions of trachytes, at least 8 volcanic activities occurred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제주도는 대륙붕 바다 속의 대륙지각 내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화산활동은 제주도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Koh
현재의 제주도의 모습은 1,950m의 한라산이 섬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제주도 전역에 약 368개의 “오름” 이라 부르는 단성화산들이 산재되어 있다(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1997). 이들은 대부분 분석구, 응회환, 응회구, 마르, 용암돔, 소순상화산의 형태로 분포한다. 이러한 화산들은 과거 기생화산이라고도 불리었으나, 최근의 연구결과 단일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어 제주도는 많은 단성화산체들이 모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Brenna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라는 이름으로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과 함께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들 중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다양한 지질학적 연구(Sohn and Chough, 1992; Hwang
지질조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1:25,000 축척의 지형도와 이 지역에 대한 1:50,000 지질도폭(Park
Table 1 . The sampling sites of the volcanic rocks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Jeju Island, Korea.
sample no. | rock name | Latitude | Longitude | Elevation(m) | locality | |
---|---|---|---|---|---|---|
1 | HL021 | BTA | 33°23' 39.31" | 126°29' 40.81" | 994m | Eoseungsaeng |
2 | HL023 | BTA | 33°21' 58.81" | 126°31' 29.95" | 1,813m | Janggumok |
3 | HL031 | BTA | 33°21' 37.31" | 126°30' 53.61" | 1,687m | Witsenueun-Oreum |
4 | HL034 | BTA | 33°21' 39.56" | 126°30' 39.17" | 1,695m | Witsejokeun-Oreum |
5 | HL039 | TB | 33°22' 04.92" | 126°30' 21.37" | 1,608m | Manseidongsan |
6 | HL043 | T | 33°21' 44.57" | 126°31' 54.83" | 1,850m | Baengnokdam |
7 | HL055 | TB | 33°21' 36.13" | 126°31' 13.99" | 1,731m | Witsebuleun-Oreum |
8 | HL062 | T | 33°22' 57.70" | 126°30' 16.27" | 1,090m | Eorimok |
9 | HL064 | BTA | 33°23' 19.46" | 126°29' 41.48" | 970m | Eorimok-kyo |
10 | HL065-1 | BTA | 33°24' 41.76" | 126°37' 06.71" | 649m | upper lava of Muljangol Ssediment |
11 | HL065-5 | TB | 33°24' 41.76" | 126°37' 06.71" | 649m | lower lava of Muljangol Ssediment |
12 | HL087 | T | 33°21' 55.78" | 126°31' 53.61" | 1,650m | near Yongjingak |
13 | HL089 | T | 33°22' 27.16" | 126°31' 46.59" | 1,536m | Samgagbong |
14 | HL110 | T | 33°22' 27.81" | 126°35' 41.83" | 1,060m | Seongneol-Oreum |
15 | HL112 | AB | 33°22' 41.67" | 126°35' 53.94" | 1,040m | Seongneol-Oreum |
16 | HL117 | TB | 33°22' 45.03" | 126°33' 50.15" | 1,225m | Heugbuleun-Oreum |
17 | HL127 | TrnB | 33°24' 35.94" | 126°36' 46.74" | 720m | Muljangol |
18 | HL136 | T | 33°21' 57.71" | 126°36' 22.55" | 814m | Seongneol-Oreum |
19 | HL143 | TrnB | 33°21' 38.60" | 126°37' 30.60" | 655m | Dongsuak |
20 | HL145 | T | 33°21' 40.26" | 126°37' 23.81" | 630m | near Dongsuak |
21 | HL150 | BTA | 33°20' 15.00" | 126°36' 07.20" | 598m | near Suak valley |
22 | HL153 | TA | 33°20' 25.36" | 126°35' 04.88" | 733m | Suak-Gil, 733m |
23 | HL163 | TA | 33°20' 49.30" | 126°35' 55.30" | 644m | Boriak |
24 | HL172 | T | 33°21' 19.51" | 126°30' 00.57" | 1,500m | Yeongsil |
25 | HL173 | TB | 33°21' 29.20" | 126°36' 51.93" | 738m | Nongoak |
26 | HL178 | TB | 33°22' 16.90" | 126°37' 24.56" | 640m | upper lava of Seojung-cheon Sediment |
27 | HL186 | T | 33°22' 19.90" | 126°37' 12.78" | 682m | Seojung-Cheon |
28 | HL190 | TB | 33°21' 54.66" | 126°33' 56.92" | 1,317m | upper lava of charcoal |
29 | HL200 | TrnB | 33°19' 20.24" | 126°32' 42.14" | 720m | Yeong-cheon |
30 | HL204 | TA | 33°18' 34.24" | 126°30' 57.21" | 729m | Akgeun-cheon |
31 | HL209 | TA | 33°18' 33.01" | 126°29' 10.14" | 698m | Gungsan-cheon |
32 | HL211 | BTA | 33°18' 49.60" | 126°28' 30.91" | 710m | Goji-cheon |
33 | HL212 | TrnB | 33°21' 15.36" | 126°31' 39.16" | 1,700m | Bangae-Oreum |
34 | HL213 | BTA | 33°21' 23.57" | 126°31' 49.06" | 1,730m | Witbangae-Oreum |
35 | HL216 | TrnB | 33°20' 50.81" | 126°31' 47.78" | 1,585m | Albangae-Oreum |
36 | HL219 | T | 33°19' 23.76" | 126°32' 02.14" | 850m | Dongheung-cheon |
37 | HL220 | TrnB | 33°19' 06.47" | 126°32' 21.78" | 715m | Dongheung-cheon |
38 | HL231 | BTA | 33°20' 20.24" | 126°28' 57.81" | 1,028m | Dosun-cheon |
39 | HL233 | TrnB | 33°20' 56.83" | 126°32' 21.98" | 1,510m | Donnaeko, 1,510m |
40 | HL236 | TB | 33°19' 51.25" | 126°33' 22.82" | 930m | Donnaeko, 910m |
용암류의 암석명은 TAS 분류도 [Total Alkali (Na2O+K2O) vs SiO2] (Le Maitre
Table 2 . Major element composi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area(unit : wt.%).
no. | HL 021 | HL 023 | HL 031 | HL 034 | HL 039 | HL 043 | HL 055 | HL 062 | HL 065-1 | HL 065-5 | HL 087 | HL 089 | HL 110 | HL 112 | HL 117 | HL 127 | HL 136 | HL 143 | HL 145 | HL 150 | HL 153 | HL 163 | HL 172 | HL 173 | HL 178 | HL 186 | HL 190 | HL 200 | HL 204 | HL 209 | HL 211 | HL 212 | HL 213 | HL 216 | HL 219 | HL 220 | HL 231 | HL 064 | HL 233 | HL 236 |
---|---|---|---|---|---|---|---|---|---|---|---|---|---|---|---|---|---|---|---|---|---|---|---|---|---|---|---|---|---|---|---|---|---|---|---|---|---|---|---|---|
rock | BTA | BTA | BTA | BTA | TB | T | TB | T | BTA | TB | T | T | T | AB | TB | TrnB | T | TrnB | T | BTA | TA | TA | T | TB | TB | T | TB | TrnB | TA | TA | BTA | TrnB | BTA | TrnB | T | TrnB | BTA | BTA | BA | TB |
SiO2 | 51.22 | 50.98 | 52.64 | 53.79 | 50.41 | 65.02 | 50.74 | 61.77 | 53.88 | 49.53 | 66.77 | 64.88 | 63.75 | 49.35 | 50.64 | 49.38 | 64.05 | 49.00 | 64.10 | 50.61 | 58.09 | 57.17 | 65.93 | 50.89 | 49.83 | 63.69 | 50.77 | 50.36 | 59.37 | 60.39 | 51.03 | 51.17 | 51.15 | 50.36 | 63.11 | 50.51 | 53.46 | 51.41 | 51.52 | 50.31 |
TiO2 | 2.12 | 2.33 | 2.15 | 1.93 | 2.31 | 0.37 | 2.04 | 0.7 | 2.03 | 2.4 | 0.24 | 0.37 | 0.44 | 2.78 | 2.77 | 2.56 | 0.45 | 2.37 | 0.45 | 2.45 | 1.26 | 1.35 | 0.25 | 2.54 | 2.57 | 0.47 | 2.35 | 2.45 | 0.97 | 1.06 | 2.71 | 2.65 | 2.37 | 2.75 | 0.62 | 2.44 | 2.07 | 2.47 | 2.31 | 2.47 |
Al2O3 | 16.68 | 16.91 | 16.99 | 16.66 | 16.15 | 16.77 | 17.61 | 16.95 | 16.07 | 16.08 | 16.05 | 17.19 | 16.35 | 16.39 | 15.63 | 15.02 | 15.43 | 14.07 | 16.13 | 16.02 | 16.44 | 16.8 | 16.31 | 15.6 | 15.15 | 16.58 | 15.62 | 14.59 | 16.72 | 15.9 | 14.99 | 15.63 | 15.92 | 15.77 | 16.18 | 14.65 | 16.29 | 16.50 | 15.35 | 15.47 |
Fe2O3 | 10.88 | 10.97 | 10.94 | 10.64 | 11.18 | 4.33 | 9.86 | 6.33 | 11.26 | 11.75 | 3.45 | 3.98 | 5.45 | 12.47 | 12.23 | 12.56 | 5.62 | 12.26 | 5.61 | 11.35 | 9.16 | 9.08 | 3.34 | 12 | 12.01 | 5.78 | 11.41 | 12.11 | 7.83 | 8.51 | 12.6 | 11.56 | 11.13 | 11.91 | 6.19 | 11.96 | 10.98 | 11.68 | 11.54 | 11.75 |
MgO | 4.18 | 4.83 | 3.13 | 2.87 | 6.06 | 0.22 | 5.02 | 0.69 | 2.87 | 6.16 | 0.22 | 0.4 | 0.49 | 4.97 | 5.13 | 7.19 | 0.47 | 8.34 | 0.5 | 4.65 | 1.76 | 1.96 | 0.26 | 5.14 | 6.36 | 0.37 | 5.75 | 6.91 | 1.24 | 1.18 | 4.7 | 4.71 | 5.03 | 4.71 | 0.71 | 6.81 | 3.01 | 4.06 | 4.99 | 5.52 |
MnO | 0.16 | 0.15 | 0.16 | 0.16 | 0.15 | 0.12 | 0.14 | 0.15 | 0.17 | 0.16 | 0.1 | 0.1 | 0.13 | 0.16 | 0.16 | 0.17 | 0.13 | 0.17 | 0.13 | 0.16 | 0.16 | 0.16 | 0.09 | 0.16 | 0.16 | 0.14 | 0.16 | 0.17 | 0.16 | 0.17 | 0.18 | 0.16 | 0.16 | 0.17 | 0.13 | 0.17 | 0.17 | 0.16 | 0.16 | 0.17 |
CaO | 6.29 | 7.42 | 5.85 | 5.55 | 7.89 | 1.54 | 8.24 | 2.54 | 5.83 | 7.72 | 1.05 | 2.04 | 2.11 | 7.42 | 7.58 | 8.34 | 1.92 | 8.53 | 2.1 | 7.97 | 4.02 | 4.66 | 1.41 | 7.47 | 7.94 | 1.55 | 7.64 | 7.99 | 3.38 | 3.6 | 7.15 | 8.25 | 7.32 | 8.37 | 2.42 | 8.08 | 5.37 | 7.33 | 8.36 | 7.56 |
Na2O | 3.87 | 3.69 | 4.41 | 4.7 | 3.45 | 5.84 | 3.62 | 5.53 | 4.48 | 3.58 | 5.96 | 5.99 | 5.72 | 3.38 | 3.76 | 3.24 | 5.86 | 3.01 | 5.91 | 3.65 | 5.12 | 5.04 | 5.98 | 3.64 | 3.51 | 5.93 | 3.66 | 3.28 | 5.29 | 5.25 | 3.77 | 3.58 | 3.73 | 3.43 | 5.51 | 3.31 | 4.43 | 4.00 | 3.43 | 3.39 |
K2O | 1.97 | 1.66 | 2.35 | 2.52 | 1.57 | 5.26 | 1.46 | 4.38 | 2.17 | 1.35 | 5.59 | 4.43 | 4.32 | 1.42 | 1.63 | 1.25 | 4.38 | 1.18 | 4.35 | 1.68 | 3.09 | 2.84 | 5.27 | 1.54 | 1.53 | 4.51 | 1.69 | 1.35 | 3.44 | 3.16 | 1.69 | 1.33 | 1.75 | 1.23 | 4.28 | 1.34 | 2.49 | 1.63 | 1.27 | 1.63 |
P2O5 | 0.5 | 0.61 | 0.8 | 0.85 | 0.52 | 0.10 | 0.53 | 0.29 | 0.98 | 0.51 | 0.04 | 0.12 | 0.14 | 0.58 | 0.56 | 0.46 | 0.14 | 0.49 | 0.14 | 0.54 | 0.49 | 0.53 | 0.06 | 0.55 | 0.57 | 0.13 | 0.55 | 0.47 | 0.39 | 0.38 | 0.82 | 0.54 | 0.52 | 0.55 | 0.21 | 0.47 | 0.91 | 0.77 | 0.44 | 0.56 |
Ig.loss | 1.85 | 0.18 | 0.29 | -0.28 | -0.13 | 0.22 | 0.4 | 0.36 | -0.06 | 0.39 | 0.19 | 0.16 | 0.85 | 1.24 | -0.36 | -0.07 | 0.23 | 0.14 | 0.16 | 0.53 | -0.06 | -0.15 | 0.66 | -0.07 | -0.12 | 0.63 | -0.12 | -0.35 | 0.81 | 0.07 | -0.17 | -0.07 | 0.48 | 0.47 | 0.36 | -0.25 | 0.41 | -0.42 | 0.17 | 0.68 |
total | 99.72 | 99.73 | 99.71 | 99.39 | 99.56 | 99.60 | 99.66 | 99.69 | 99.68 | 99.63 | 99.66 | 99.66 | 99.75 | 100.16 | 99.73 | 100.10 | 98.68 | 99.56 | 99.58 | 99.61 | 99.53 | 99.44 | 99.56 | 99.46 | 99.51 | 99.78 | 99.48 | 99.33 | 99.6 | 99.67 | 99.47 | 99.51 | 99.56 | 99.72 | 99.72 | 99.49 | 99.59 | 99.59 | 99.54 | 99.51 |
Ar-Ar 연대측정에서 중성자 조사는 미국 Oregon 대학의 원자로를 이용하였으며, Ar-Ar 연대는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원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저 발생장치(Fusions 10.6, Photon Machines)와 다검출기 불활성기체 질량분석기(ARGUS VI noble gas mass spectrometer, Therm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에 대한 자세한 과정은 Kim
윗세붉은오름(HL055) : 윗세오름은 한라산 위에 세 개의 봉우리가 나란히 이어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세 오름 중 동쪽편의 윗세오름 대피소가 위치한 오름을 윗세붉은오름, 중간을 윗세누운오름, 가장 서쪽편의 오름은 윗세족은오름이라 한다. 윗세붉은오름은 해발고도 1,740m, 비고 75m, 둘레는 2,113m로 다른 두 오름과는 달리 정상부가 분석구로 이루어져 있다(Fig. 3(E)). 윗세붉은오름사면에서는 분석과 용암이 교호하여 산출된다.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Table 3 . 40Ar-39Ar age of the volcanic rocks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Jeju Island, Korea. (plateau age. * : integrated age).
sample no. | rock name | material | % 39Ar | step | integrated age(ka) | plateau age(ka) |
---|---|---|---|---|---|---|
HL021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122 ± 11 | 123 ± 9 |
HL023 | BTA | groundmass | 56.2 | 6/12 | 157 ± 5 | 135 ± 6 |
HL031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76 ± 5 | 76 ± 4 |
HL034 | BTA | groundmass | 79.1 | 6/12 | 93 ± 4 | - |
HL039 | TB | groundmass | 79.1 | 6/12 | 148 ± 5 | 153 ± 5 |
HL043 | T | groundmass | 40.1 | 3/12 | 47 ± 4 | 46 ± 5 |
HL055 | TB | groundmass | 66.2 | 7/12 | 69 ± 6 | 41 ± 5 |
HL062 | T | groundmass | 96.9 | 9/12 | 196 ± 6 | 191 ± 5 |
HL064 | BTA | groundmass | 58.7 | 8/12 | 193 ± 12 | 192 ± 11 |
HL065-1 | BTA | groundmass | 100 | 10/11 | 76 ± 8 | 73 ± 7 |
HL065-5 | TB | groundmass | 100 | 8/8 | 117 ± 16 | 103 ± 13 |
HL087 | T | groundmass | 100 | 6/7 | 31 ± 3 | 32 ± 2 |
HL089 | T | groundmass | 100 | 6/7 | 103 ± 2 | 105 ± 2 |
HL110 | T | groundmass | 100 | 12/12 | 35 ± 5 | 32 ± 4 |
HL112 | AB | groundmass | 70.3 | 5/7 | 62 ± 15 | 92 ± 16 |
HL117 | TB | groundmass | 100 | 8/8 | 55 ± 9 | 60 ± 8 |
HL127 | TrnB | groundmass | 100 | 9/11 | 93 ± 10 | 81 ± 10 |
HL136 | T | groundmass | 100 | 12/12 | 45 ± 5 | 43 ± 4 |
HL143 | TrnB | groundmass | 100 | 11/12 | 200 ± 20 | 184 ± 19 |
HL145 | T | groundmass | 100 | 10/12 | 38 ± 4 | 40 ± 3 |
HL150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35 ± 10 | 35 ± 8 |
HL153 | TA | groundmass | 84 | 9/12 | 86 ± 6 | 77 ± 5 |
HL16 | TA | groundmass | 100 | 11/12 | 77 ± 5 | 73 ± 5 |
HL172 | T | groundmass | 94.3 | 11/12 | 73 ± 2 | 71 ± 2 |
HL173 | TB | groundmass | 100 | 12/12 | 38 ± 13 | 43 ± 12 |
HL178 | TB | groundmass | 71.3 | 5/12 | 157 ± 19 | 22 ± 18 |
HL186 | T | groundmass | 67.8 | 8/13 | 34 ± 3 | 30 ± 2 |
HL190 | TB | groundmass | 52.7 | 5/12 | 71 ± 5 | 22 ± 6 |
HL200* | TrnB | groundmass | 86 ± 16 | - | ||
HL204 | TA | groundmass | 71.5 | 7/12 | 122 ± 10 | 102 ± 9 |
HL209 | TA | groundmass | 100 | 10/12 | 110 ± 3 | 111 ± 2 |
HL211* | BTA | groundmass | 84 ± 11 | - | ||
HL212 | TrnB | groundmass | 100 | 11/12 | 62 ± 8 | 59 ± 6 |
HL213 | BTA | groundmass | 84.2 | 8/12 | 92 ± 5 | 94 ± 4 |
HL216 | TrnB | groundmass | 54 | 6/12 | 110 ± 20 | 83 ± 14 |
HL219* | T | groundmass | 88 ± 3 | - | ||
HL220* | TrnB | groundmass | 95 ± 10 | - | ||
HL231* | BTA | groundmass | 53 ± 10 | - | ||
HL233 | BA | groundmass | 100 | 12/12 | 100 ± 30 | 90 ± 20 |
HL236 | TB | groundmass | 57.1 | 5/12 | 50 ± 20 | 40 ± 20 |
윗세누운오름(HL031) : 윗세누운오름은 윗세오름 중 중간에 위치한다. 윗세누운오름은 해발고도 1,711m, 비고 71m, 둘레는 1,384m 이다. 대부분은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름 중간 부분과 정상부는 용암이 분포한다(Fig. 3(G)).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윗세족은오름(HL034) : 윗세오름의 세 오름 중 가장 남쪽에 있는 윗세족은오름(Fig. 3(F))은 해발고도 1,699m, 비고 64m, 둘레 2,113m이다. 오름의 사면은 분석이 주로 산출되며, 정상부에는 용암이 산출된다. 용암의 암색은 짙은 회색을 띄며, 기공이 발달하였으며, 유상구조가 관찰된다.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만세동산(HL039) : 만세동산은 어리목탐방로 중간부에 위치하며, 해발고도 1,606m, 비고 88m이다. 만세동산의 북-남-남서 방향은 가파른 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남동부로는 평원 형태의 매우 완만한 지형을 보인다(Fig. 3(D)).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장구목오름(HL023) : 한라산 정상에서 북서부에 위치한 장구목오름은 백록담 다음으로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한 소화산체로 그 높이가 1,813m이다(Fig. 3(C)).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어승생악(HL021) : 한라산 정상에서 북서쪽으로 약 6km 지점에 위치한 어승생악은 고도 약 1,169m이며, 비고 약 350m이다. 어승생악의 정상은 분석이 분포하며, 어리목휴게소에서 어승생악으로 올라가는 탐방로 근처에는 용암이 관찰된다(Fig. 3(B)).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방애오름(HL212), 윗방애오름(HL213), 알방애오름(HL216) : 방애오름 구간은 백록담 남쪽의 윗방애오름, 방애오름, 알방애오름을 포함한다. 한라산의 남사면에는 위치한 방애오름(Fig. 3(H))은 고도 1,699m, 윗방애오름 (Fig. 3(I))은 고도는 1,747m, 알방애오름(Fig. 3(J))은 고도는 1,585m이다. 이들 세 오름들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영실(HL172) : 한라산 백록담 서남쪽에 위치한 영실은 해발고도 1,639m, 비고 389m로 병풍바위 또는 영실기암으로 부르기도 한다. 영실은 동쪽과 북쪽은 높은 절벽을 이루고 남서쪽으로 열개되어 있는 초승달 형태를 띈다(Fig. 4(H)).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삼각봉(HL089) : 관음사 탐방로에서 한라산 백록담 방향으로 약 4.9km 지점에 위치한 삼각봉은 해발 1,696m 이며, 용암돔을 이룬다(Fig. 4(G)). 1:5만 서귀포-하효리 지질도(Park
흙붉은오름(HL117) : 한라산 동쪽부에서는 가장 높고 백록담에서 가장 가까운 흙붉은오름은 해발고도 1,381m, 비고 146m, 둘레 3,403m이며, 동쪽으로 입구가 벌어진 말굽형 분화구 형태를 보인다(Fig. 4(D)). 흙붉은오름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성널오름(HL112, HL110, HL136) : 한라산 동쪽 사면에서는 가장 큰 소화산체인 성널오름은 3개의 분화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름 사면에는 분석층이 두껍게 분포한다(Fig. 4(B)).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논고악(HL173) : 논고악은 높이 858m, 비고 143m인 오름으로, 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분화구 형태를 보이는 산정화구이다(Fig. 4(C)).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동수악(HL143, HL145) : 남원읍 한남리에 위치한 동수악은 해발고도 약 700m, 비고 100m, 둘레 약 1,800여m 이다(Fig. 4(A)).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보리악(HL163) : 보리악은 논고교에서 서쪽으로 약 1km 지점에 위치한 원추형 화산으로 해발고도는 739.6m, 비고 130m, 둘레는 약 2,800m이다(Fig. 4(E)).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물장올(HL127, HL065-1, HL065-5) : 물장올은 한라산 동쪽 사면에 위치한 화구호를 가진 분석구이다. 물장올의 해발고도는 938m이며, 비고 120m, 둘레 3,094m이다(Fig. 4(F)). 이 오름은 타원형에 가까운 원추형 화산체이나 북동쪽 사면에 용암이 분출되어 있다. 물장올 지역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물장올 동쪽 계곡부는 약 1~2m 두께의 화산쇄설성 퇴적층으로 구성된 굴전동역암(Park
어리목상수원 부근(HL062, HL064) : 어리목상수원은 어리목휴게소의 무수천과 광령천이 합류하는 곳에 위치한다(Fig. 3(A)). 이 지역은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용진각 계곡(HL087) : 용진각 계곡 최상류의 백록담 북부 조면암 돔 절벽을 이루는 용암류(HL087)의 주원소 성분 조성은 SiO2 함량이 66.8 wt.%, Na2O+K2O의 함량이 11.6 wt.%로 조면암에 해당된다(Table 2, Fig. 2). 한라산 북벽 조면암의 40Ar/39Ar 연대는 32±2 ka(Table 3, Fig. 6)이다.
사라오름 남쪽 하천계곡(HL190) : 이 지역은 사라오름과 입석오름 사이에 발달된 계곡들 중 첫 번째 하천계곡으로 해발고도로는 약 1,500m~1,000m의 구간이다.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Table 4 . Radiocarbon dating result for charcoal from the intercalated sediment layer between lavas of near Sara-Oreum,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sample no | δ13C‰ | 14C age (yr BP) | calibrated age (Cal yr BP) | material |
---|---|---|---|---|
HL190 | -23.9 | 23,921±104 | 27,980±206 | charcoal |
서중천 지역(HL178, HL186) : 서귀포-하효리 1:5만 지질도(Park
한라산 둘레길(수악길 구간 : HL150, HL153) : 이 지역은 한라산 둘레길 중 신례천 상류 수악교 근처의 둘레길 입구(지방도 1131도로에서 접근)에서 돈내코 탐방로 입구까지 조성된 약 4km 구간이다. 이 지역의 위쪽 사면에는 입석오름(해발 1,189m)이 분포하고 있으며, 아래쪽 사면으로는 선돌서원, 선덕사가 위치한다. 1:5만 지질도(Park
둘레길의 초입은 침상장석현무암류가 분포하는데, 둘레길 북쪽에 분포하는 반상휘석장석현무암류와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이후 둘레길 중간 부분에는 조면안산암류(HL153)가 분포하는데 침상장석현무암류에 의해 피복된 것으로 판단된다. 경계부에서는 암괴상으로 산발적인 분포를 보이나 하천 계곡에서는 아아 용암류로 확인된다. 침상장석현무암의 주원소성분의 조성은 SiO2 함량이 50.61 wt.%, Na2O+K2O 함량이 5.33 wt.%로 현무암질조면안산암에 속하며, 둘레길 중간지역의 HL153은 SiO2 함량이 58.09 wt.%, Na2O+K2O 함량이 8.21 wt.%로 조면안산암에 속한다(Table 2, Fig. 2). 침상 장석 조직을 갖는 현무암질조면안산암(HL150)의 40Ar/39Ar 연대는 35±8 ka, 조면안산암(HL153)의 40Ar/39Ar 연대는 77±5 ka 이다(Table 3, Fig. 6).
돈내코 탐방로(HL233, HL236) : 이 구간은 오름이 분포하지는 않으며, 1:5만 지질도에서는 백록담조면현무암으로 분류하고 있다(Park
한라산 둘레길(동백길 구간 : HL200, HL204, HL209, HL211, HL219, HL220) : 영천교차점에서 시오름 구간은 장석이 반정과 침상 결정으로 혼재된 현무암이 주로 관찰되며, 시오름에서 도순천 교차점까지는 장석 반정의 크기는 좀 더 커지나 양적으로는 적어지며, 색상이 차이나는 등 좀더 다양한 현무암이 분포하고 있다. 5만 지질도에서 돈내코-시오름 구간은 백록담조면현무암이, 시오름-도순천 구간은 주로 법정동조면현무암과 윗세오름조면현무암이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영천과 둘레길 교차지점(HL200)부터 동흥천(HL220)을 지나 시오름 근처까지는 SiO2 함량이 48.99~51.02 wt.%, Na2O+K2O 함량이 4.33~4.77 wt.%(Table 2, Fig. 2)로 비교적 조성이 균질하며, 전이질현무암이 우세하다. 동흥천 상류 구간(Fig. 4(I))으로는 조면암이 하천 침식면을 따라 계곡 지형을 이루어 분포하며, 계곡의 양쪽 정상부는 화산분출물과 용암류의 깨진 암괴를 덮혀 있어 조면암의 분출 정치 이후 발생한 화산분화의 산물에 의해 피복된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구간 내에서 하류 지역에 비해 상류지역의 조면암은 화강암의 박리와 같은 판상절리가 발달하고 있다. 이 지역의 조면암은 치밀질이고 비반상조직을 보인다. 조면암은 SiO2 함량이 63.30 wt.%, Na2O+K2O 함량이 9.99 wt.% 내외의 조성을 보인다(Table 2, Fig. 2).
시오름-법정사까지의 구간은 대부분 장석 반정이 우세한 용암이 주로 산출되지만 궁산천에서는 옅은 회색을 띄는 용암이 분포한다(Fig. 4(J)). 이 구간은 SiO2 함량이 50.31~60.39 wt.%, Na2O+K2O 함량이 4.88~8.41 wt.%로 다양한 조성을 보이는데 악근천 근처(HL204)는 조면안산암 조성을 나타내며, 궁산천으로 가면서 조면현무암, 소레아이트질현무암의 조성을 보인다. 궁산천의 용암(HL209)은 조면안산암 조성을 나타내며, 궁산천의 서쪽편에서 고지천(HL211)까지는 현무암질조면산안산암 조성을 나타낸다(Table 2, Fig. 2). 영천 교차점의 용암(HL200)의 40Ar/39Ar 연대는 86±16 ka, 동흥천 교차점의 용암(HL220)의 40Ar/39Ar 연대는 95±10 ka, 동흥천 상류 조면암(HL219)의 40Ar/39Ar 연대는 88±3 ka, 악근천 교차점의 용암(HL204)의 40Ar/39Ar 연대는 102±9 ka, 궁산천 교차점의 용암(HL209)의 40Ar/39Ar 연대는 111±2 ka, 고지천 교차점의 용암(HL211)의 40Ar/39Ar 연대는 84±11 ka이다(Table 3, Fig. 6).
도순천(HL231) : 이 지역은 영실제1교에서 법정사에 이르는 구간으로 크게 파호이호이 용암류와 아아 용암류의 두 종류가 분포하는데 파호이호이 용암류가 기저를 이루고 있다. 이 용암의 상부에는 기공이 많은 다공질의 특징을 보이며, 용암류의 두께는 2~5m로 두 매의 용암단위가 확인되며, 반상휘석장석현무암의 암상을 나타낸다. 상부에 피복되는 아아 용암류와의 접촉부는 상류에서는 직접 접촉하나 하류로 감에 따라 아아 용암류의 클링커층과 접하게 된다. 도순천 지역의 용암(HL231)은 SiO2 함량이 53.46 wt.%, Na2O+K2O 함량이 6.92 wt.%로 현무암질조면안산암 조성을 나타낸다(Table 2, Fig. 2). 도순천(HL231) 용암의 40Ar/39Ar 연대는 53±10 ka이다(Table 3, Fig. 6).
백록담(HL043) : 한라산 정상부는 백록담을 중심으로 서쪽은 한라산조면암, 동쪽은 백록담조면현무암으로 구분된다(Ahn and Hong, 2017). Koh
Koh
10만 년 전 이후의 화산활동도 천연보호구역 내에서 매우 활발히 발생하였음을 보여준다. 초기 성널오름(92±16 ka), 윗방애오름(94±4 ka), 알방애오름(83±14 ka), 물장올(81±10 ka), 윗세누운오름(76±4 ka), 영실조면암(71±2 ka), 보리악(73±5 ka), 방애오름(59±6 ka), 흙붉은오름(60±8 ka) 등은 10만년~5만년 사이의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백록담(47±4 ka), 논고악(43±12 ka), 윗세붉은오름(41±5 ka), 윗세족은오름(30±2 ka), 동수악 부근 조면암(40±3 ka), 성널오름 부근 조면암(43±4 ka, 32±4 ka), 서중천 지류 하천의 조면암(30±2 ka), 백록담 동릉 일대의 조면현무암(16±4 ka, Koh,
그러나 이번의 추가적인 연대측정 결과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일대에서의 화산활동기를 좀더 자세히 구분할 수 있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전 지역에서 조면암들이 관찰되며, 이들에 대한 연대결과로 보면 191 ka, 134 ka, 105 ka, 88 ka, 70 ka, 47ka, 40 ka, 30 ka 등 약 8번의 화산활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서 가장 오래된 조면암은 어리목상수원 일대의 용암(191 ka)이다. 그 이후 왕관릉(134 ka), 삼각봉(105 ka), 동흥천 상류(88 ka), 영실(70 ka), 백록담(47 ka), 성널오름 남동부와 동수악 부근(40 ka), 용진각 계곡-성널오름 북부-서중천 지류하천(30 ka) 등의 조면암이 서로 다른 시기의 화산 활동 시기를 보이고 있다. 이들 중 돔의 형태를 보이는 조면암은 왕관릉, 삼각봉, 영실, 용진각계곡, 백록담들이며, 나머지 조면암들은 층상 형태나 암맥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시간적으로 보면 연대가 젊어질수록 조면암의 산출이 빈번해짐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3만 년~5만 년 사이에 조면암의 빈번하게 분출되었음이 연대자료에서 확인된다. 지금까지의 연대자료로 추정하면 어리목상수원 조면암 분출에서 그 이후의 왕관릉 분출까지는 약 6만년의 시간간격을 보이지만 그 이후로는 왕관릉 조면암에서 삼각봉조면암 분출까지는 약 3만 년, 삼각봉조면암에서 동흥천 상류 조면암 출현까지는 약 2만년, 그 이후의 영실조면암 분출까지는 약 2만 년의 시간 간격으로 보이며, 영실조면암에서 백록담의 조면암까지는 약 2만 년의 시간 간격을 보인다. 그 이후로는 약 1만 년의 시간 간격을 보여 조면암의 분출 간격이 연대가 젊어질수록 짧아짐을 알 수 있다.
Fig. 7에 현재까지 발표된 제주도의 육상 노두에서 채취된 현무암들의 40Ar/39Ar 연대들을 해발고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약 90만년 전부터 20만년 전까지의 지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주도의 화산활동은 산발적이지만 20만년 전 이후부터 홀로세까지의 화산활동은 제주도의 육상에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Koh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특히 50 ka 이후 분출된 화산들이 다수 포함되는데 40Ar/39Ar 연대 측정법으로는 정확한 연대를 정의하기에는 오차범위가 큰 것이 사실이다. 논고악, 서중천퇴적층 상부, 물장올퇴적층 상부 등의 용암의 40Ar/39Ar 연대는 오차범위가 비교적 크고 실제 하부 퇴적층의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 탄소연대보다 더 오래된 연대값을 보이고 있다. Ahn
40Ar/39Ar 연대 분석이 실시된 화산암들의 위치(Fig. 8)는 1:5만 서귀포-하효리 지질도에 의하면 법정동조면현무암 및 분석구(HL039, HL021, HL204, HL034, HL211, HL031) 윗세오름조면현무암 분석구(HL023, HL213, HL216, HL212, HL055), 굴전동역암(HL065-5, HL065-1), 물장올조면현무암 분석구(HL143, HL127, HL173), 백록담조면현무암(HL220, HL200, HL231, HL150, HL190), 성널오름조면현무암 및 분석구(HL112, HL110), 시오름 조면현무암 및 분석구(HL153, HL117), 한라산조면암(HL043, HL209, HL089, HL219, HL172, HL136, HL145, HL087, HL186, HL178), 해안동조면현무암(HL062), 보리악현무암(HL163) 분포지역에 해당된다. 지질도에서는 동일한 층준으로 분류되었지만 실제 연대측정결과를 보면 최대 10만년 이상의 분출시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서로 다른 시기의 화산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질도에서는 수직적 층서 관계 및 서로 다른 분석구에서의 중심 분출형태를 기준으로 해석하여 암층을 구분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시기를 보이는 조면암의 돔의 형성 등을 고려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19만년 이후 지속적인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화산지대로 보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한라산을 포함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완전한 화산활동사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심부 시추를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어승생, 장구목오름, 윗세오름, 방애오름, 성널오름, 동수악, 보리악, 영실, 논고악 등 오름들과 그 주변 용암들에서 채취된 39개의 용암류에 대한 전암 주성분조성과 40Ar/39Ar 연대를 분석하고 이를 보고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용암조성은 알칼리현무암-전이질현무암-조면현무암-현무암질조면안산암-조면안산암-조면암이다.
40Ar/39Ar 연대 측정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약 19만 년 이후 홀로세 직전까지 지속적인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면암의 분출시기에 의하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최소 약 8회의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중 왕관릉, 삼각봉, 영실, 백록담 등 조면암 돔이 형성된 4회의 화산활동과 암맥상의 조면암이 산출된 4회의 화산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내 현재의 한라산의 형태는 지표상의 노출상태로 보아 가장 먼저 보호구역 북서부에서 시작되어 남부지역의 화산활동, 그리고 동부지역의 화산활동, 마지막으로 백록담 형성과 관계된 화산활동 등의 순서로 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좀더 정확한 형성 과정을 밝히기 위해서는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서의 심부 시추를 통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 분포하는 용암류의 층서와 명명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은 1:5,000의 정밀지질도를 재작성하여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의 지질계통을 확실히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문화재청이 출연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가 지원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수행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지형, 식생, 기후 기초학술조사”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주요과제(국토지질조사 및 지질도·지질주제도 발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논문심사에서 세심한 검토와 조언을 하여 주신 심사위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Table 1 . The sampling sites of the volcanic rocks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Jeju Island, Korea.
sample no. | rock name | Latitude | Longitude | Elevation(m) | locality | |
---|---|---|---|---|---|---|
1 | HL021 | BTA | 33°23' 39.31" | 126°29' 40.81" | 994m | Eoseungsaeng |
2 | HL023 | BTA | 33°21' 58.81" | 126°31' 29.95" | 1,813m | Janggumok |
3 | HL031 | BTA | 33°21' 37.31" | 126°30' 53.61" | 1,687m | Witsenueun-Oreum |
4 | HL034 | BTA | 33°21' 39.56" | 126°30' 39.17" | 1,695m | Witsejokeun-Oreum |
5 | HL039 | TB | 33°22' 04.92" | 126°30' 21.37" | 1,608m | Manseidongsan |
6 | HL043 | T | 33°21' 44.57" | 126°31' 54.83" | 1,850m | Baengnokdam |
7 | HL055 | TB | 33°21' 36.13" | 126°31' 13.99" | 1,731m | Witsebuleun-Oreum |
8 | HL062 | T | 33°22' 57.70" | 126°30' 16.27" | 1,090m | Eorimok |
9 | HL064 | BTA | 33°23' 19.46" | 126°29' 41.48" | 970m | Eorimok-kyo |
10 | HL065-1 | BTA | 33°24' 41.76" | 126°37' 06.71" | 649m | upper lava of Muljangol Ssediment |
11 | HL065-5 | TB | 33°24' 41.76" | 126°37' 06.71" | 649m | lower lava of Muljangol Ssediment |
12 | HL087 | T | 33°21' 55.78" | 126°31' 53.61" | 1,650m | near Yongjingak |
13 | HL089 | T | 33°22' 27.16" | 126°31' 46.59" | 1,536m | Samgagbong |
14 | HL110 | T | 33°22' 27.81" | 126°35' 41.83" | 1,060m | Seongneol-Oreum |
15 | HL112 | AB | 33°22' 41.67" | 126°35' 53.94" | 1,040m | Seongneol-Oreum |
16 | HL117 | TB | 33°22' 45.03" | 126°33' 50.15" | 1,225m | Heugbuleun-Oreum |
17 | HL127 | TrnB | 33°24' 35.94" | 126°36' 46.74" | 720m | Muljangol |
18 | HL136 | T | 33°21' 57.71" | 126°36' 22.55" | 814m | Seongneol-Oreum |
19 | HL143 | TrnB | 33°21' 38.60" | 126°37' 30.60" | 655m | Dongsuak |
20 | HL145 | T | 33°21' 40.26" | 126°37' 23.81" | 630m | near Dongsuak |
21 | HL150 | BTA | 33°20' 15.00" | 126°36' 07.20" | 598m | near Suak valley |
22 | HL153 | TA | 33°20' 25.36" | 126°35' 04.88" | 733m | Suak-Gil, 733m |
23 | HL163 | TA | 33°20' 49.30" | 126°35' 55.30" | 644m | Boriak |
24 | HL172 | T | 33°21' 19.51" | 126°30' 00.57" | 1,500m | Yeongsil |
25 | HL173 | TB | 33°21' 29.20" | 126°36' 51.93" | 738m | Nongoak |
26 | HL178 | TB | 33°22' 16.90" | 126°37' 24.56" | 640m | upper lava of Seojung-cheon Sediment |
27 | HL186 | T | 33°22' 19.90" | 126°37' 12.78" | 682m | Seojung-Cheon |
28 | HL190 | TB | 33°21' 54.66" | 126°33' 56.92" | 1,317m | upper lava of charcoal |
29 | HL200 | TrnB | 33°19' 20.24" | 126°32' 42.14" | 720m | Yeong-cheon |
30 | HL204 | TA | 33°18' 34.24" | 126°30' 57.21" | 729m | Akgeun-cheon |
31 | HL209 | TA | 33°18' 33.01" | 126°29' 10.14" | 698m | Gungsan-cheon |
32 | HL211 | BTA | 33°18' 49.60" | 126°28' 30.91" | 710m | Goji-cheon |
33 | HL212 | TrnB | 33°21' 15.36" | 126°31' 39.16" | 1,700m | Bangae-Oreum |
34 | HL213 | BTA | 33°21' 23.57" | 126°31' 49.06" | 1,730m | Witbangae-Oreum |
35 | HL216 | TrnB | 33°20' 50.81" | 126°31' 47.78" | 1,585m | Albangae-Oreum |
36 | HL219 | T | 33°19' 23.76" | 126°32' 02.14" | 850m | Dongheung-cheon |
37 | HL220 | TrnB | 33°19' 06.47" | 126°32' 21.78" | 715m | Dongheung-cheon |
38 | HL231 | BTA | 33°20' 20.24" | 126°28' 57.81" | 1,028m | Dosun-cheon |
39 | HL233 | TrnB | 33°20' 56.83" | 126°32' 21.98" | 1,510m | Donnaeko, 1,510m |
40 | HL236 | TB | 33°19' 51.25" | 126°33' 22.82" | 930m | Donnaeko, 910m |
Table 2 . Major element compositions of the volcanic rocks from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area(unit : wt.%).
no. | HL 021 | HL 023 | HL 031 | HL 034 | HL 039 | HL 043 | HL 055 | HL 062 | HL 065-1 | HL 065-5 | HL 087 | HL 089 | HL 110 | HL 112 | HL 117 | HL 127 | HL 136 | HL 143 | HL 145 | HL 150 | HL 153 | HL 163 | HL 172 | HL 173 | HL 178 | HL 186 | HL 190 | HL 200 | HL 204 | HL 209 | HL 211 | HL 212 | HL 213 | HL 216 | HL 219 | HL 220 | HL 231 | HL 064 | HL 233 | HL 236 |
---|---|---|---|---|---|---|---|---|---|---|---|---|---|---|---|---|---|---|---|---|---|---|---|---|---|---|---|---|---|---|---|---|---|---|---|---|---|---|---|---|
rock | BTA | BTA | BTA | BTA | TB | T | TB | T | BTA | TB | T | T | T | AB | TB | TrnB | T | TrnB | T | BTA | TA | TA | T | TB | TB | T | TB | TrnB | TA | TA | BTA | TrnB | BTA | TrnB | T | TrnB | BTA | BTA | BA | TB |
SiO2 | 51.22 | 50.98 | 52.64 | 53.79 | 50.41 | 65.02 | 50.74 | 61.77 | 53.88 | 49.53 | 66.77 | 64.88 | 63.75 | 49.35 | 50.64 | 49.38 | 64.05 | 49.00 | 64.10 | 50.61 | 58.09 | 57.17 | 65.93 | 50.89 | 49.83 | 63.69 | 50.77 | 50.36 | 59.37 | 60.39 | 51.03 | 51.17 | 51.15 | 50.36 | 63.11 | 50.51 | 53.46 | 51.41 | 51.52 | 50.31 |
TiO2 | 2.12 | 2.33 | 2.15 | 1.93 | 2.31 | 0.37 | 2.04 | 0.7 | 2.03 | 2.4 | 0.24 | 0.37 | 0.44 | 2.78 | 2.77 | 2.56 | 0.45 | 2.37 | 0.45 | 2.45 | 1.26 | 1.35 | 0.25 | 2.54 | 2.57 | 0.47 | 2.35 | 2.45 | 0.97 | 1.06 | 2.71 | 2.65 | 2.37 | 2.75 | 0.62 | 2.44 | 2.07 | 2.47 | 2.31 | 2.47 |
Al2O3 | 16.68 | 16.91 | 16.99 | 16.66 | 16.15 | 16.77 | 17.61 | 16.95 | 16.07 | 16.08 | 16.05 | 17.19 | 16.35 | 16.39 | 15.63 | 15.02 | 15.43 | 14.07 | 16.13 | 16.02 | 16.44 | 16.8 | 16.31 | 15.6 | 15.15 | 16.58 | 15.62 | 14.59 | 16.72 | 15.9 | 14.99 | 15.63 | 15.92 | 15.77 | 16.18 | 14.65 | 16.29 | 16.50 | 15.35 | 15.47 |
Fe2O3 | 10.88 | 10.97 | 10.94 | 10.64 | 11.18 | 4.33 | 9.86 | 6.33 | 11.26 | 11.75 | 3.45 | 3.98 | 5.45 | 12.47 | 12.23 | 12.56 | 5.62 | 12.26 | 5.61 | 11.35 | 9.16 | 9.08 | 3.34 | 12 | 12.01 | 5.78 | 11.41 | 12.11 | 7.83 | 8.51 | 12.6 | 11.56 | 11.13 | 11.91 | 6.19 | 11.96 | 10.98 | 11.68 | 11.54 | 11.75 |
MgO | 4.18 | 4.83 | 3.13 | 2.87 | 6.06 | 0.22 | 5.02 | 0.69 | 2.87 | 6.16 | 0.22 | 0.4 | 0.49 | 4.97 | 5.13 | 7.19 | 0.47 | 8.34 | 0.5 | 4.65 | 1.76 | 1.96 | 0.26 | 5.14 | 6.36 | 0.37 | 5.75 | 6.91 | 1.24 | 1.18 | 4.7 | 4.71 | 5.03 | 4.71 | 0.71 | 6.81 | 3.01 | 4.06 | 4.99 | 5.52 |
MnO | 0.16 | 0.15 | 0.16 | 0.16 | 0.15 | 0.12 | 0.14 | 0.15 | 0.17 | 0.16 | 0.1 | 0.1 | 0.13 | 0.16 | 0.16 | 0.17 | 0.13 | 0.17 | 0.13 | 0.16 | 0.16 | 0.16 | 0.09 | 0.16 | 0.16 | 0.14 | 0.16 | 0.17 | 0.16 | 0.17 | 0.18 | 0.16 | 0.16 | 0.17 | 0.13 | 0.17 | 0.17 | 0.16 | 0.16 | 0.17 |
CaO | 6.29 | 7.42 | 5.85 | 5.55 | 7.89 | 1.54 | 8.24 | 2.54 | 5.83 | 7.72 | 1.05 | 2.04 | 2.11 | 7.42 | 7.58 | 8.34 | 1.92 | 8.53 | 2.1 | 7.97 | 4.02 | 4.66 | 1.41 | 7.47 | 7.94 | 1.55 | 7.64 | 7.99 | 3.38 | 3.6 | 7.15 | 8.25 | 7.32 | 8.37 | 2.42 | 8.08 | 5.37 | 7.33 | 8.36 | 7.56 |
Na2O | 3.87 | 3.69 | 4.41 | 4.7 | 3.45 | 5.84 | 3.62 | 5.53 | 4.48 | 3.58 | 5.96 | 5.99 | 5.72 | 3.38 | 3.76 | 3.24 | 5.86 | 3.01 | 5.91 | 3.65 | 5.12 | 5.04 | 5.98 | 3.64 | 3.51 | 5.93 | 3.66 | 3.28 | 5.29 | 5.25 | 3.77 | 3.58 | 3.73 | 3.43 | 5.51 | 3.31 | 4.43 | 4.00 | 3.43 | 3.39 |
K2O | 1.97 | 1.66 | 2.35 | 2.52 | 1.57 | 5.26 | 1.46 | 4.38 | 2.17 | 1.35 | 5.59 | 4.43 | 4.32 | 1.42 | 1.63 | 1.25 | 4.38 | 1.18 | 4.35 | 1.68 | 3.09 | 2.84 | 5.27 | 1.54 | 1.53 | 4.51 | 1.69 | 1.35 | 3.44 | 3.16 | 1.69 | 1.33 | 1.75 | 1.23 | 4.28 | 1.34 | 2.49 | 1.63 | 1.27 | 1.63 |
P2O5 | 0.5 | 0.61 | 0.8 | 0.85 | 0.52 | 0.10 | 0.53 | 0.29 | 0.98 | 0.51 | 0.04 | 0.12 | 0.14 | 0.58 | 0.56 | 0.46 | 0.14 | 0.49 | 0.14 | 0.54 | 0.49 | 0.53 | 0.06 | 0.55 | 0.57 | 0.13 | 0.55 | 0.47 | 0.39 | 0.38 | 0.82 | 0.54 | 0.52 | 0.55 | 0.21 | 0.47 | 0.91 | 0.77 | 0.44 | 0.56 |
Ig.loss | 1.85 | 0.18 | 0.29 | -0.28 | -0.13 | 0.22 | 0.4 | 0.36 | -0.06 | 0.39 | 0.19 | 0.16 | 0.85 | 1.24 | -0.36 | -0.07 | 0.23 | 0.14 | 0.16 | 0.53 | -0.06 | -0.15 | 0.66 | -0.07 | -0.12 | 0.63 | -0.12 | -0.35 | 0.81 | 0.07 | -0.17 | -0.07 | 0.48 | 0.47 | 0.36 | -0.25 | 0.41 | -0.42 | 0.17 | 0.68 |
total | 99.72 | 99.73 | 99.71 | 99.39 | 99.56 | 99.60 | 99.66 | 99.69 | 99.68 | 99.63 | 99.66 | 99.66 | 99.75 | 100.16 | 99.73 | 100.10 | 98.68 | 99.56 | 99.58 | 99.61 | 99.53 | 99.44 | 99.56 | 99.46 | 99.51 | 99.78 | 99.48 | 99.33 | 99.6 | 99.67 | 99.47 | 99.51 | 99.56 | 99.72 | 99.72 | 99.49 | 99.59 | 99.59 | 99.54 | 99.51 |
Table 3 . 40Ar-39Ar age of the volcanic rocks at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Jeju Island, Korea. (plateau age. * : integrated age).
sample no. | rock name | material | % 39Ar | step | integrated age(ka) | plateau age(ka) |
---|---|---|---|---|---|---|
HL021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122 ± 11 | 123 ± 9 |
HL023 | BTA | groundmass | 56.2 | 6/12 | 157 ± 5 | 135 ± 6 |
HL031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76 ± 5 | 76 ± 4 |
HL034 | BTA | groundmass | 79.1 | 6/12 | 93 ± 4 | - |
HL039 | TB | groundmass | 79.1 | 6/12 | 148 ± 5 | 153 ± 5 |
HL043 | T | groundmass | 40.1 | 3/12 | 47 ± 4 | 46 ± 5 |
HL055 | TB | groundmass | 66.2 | 7/12 | 69 ± 6 | 41 ± 5 |
HL062 | T | groundmass | 96.9 | 9/12 | 196 ± 6 | 191 ± 5 |
HL064 | BTA | groundmass | 58.7 | 8/12 | 193 ± 12 | 192 ± 11 |
HL065-1 | BTA | groundmass | 100 | 10/11 | 76 ± 8 | 73 ± 7 |
HL065-5 | TB | groundmass | 100 | 8/8 | 117 ± 16 | 103 ± 13 |
HL087 | T | groundmass | 100 | 6/7 | 31 ± 3 | 32 ± 2 |
HL089 | T | groundmass | 100 | 6/7 | 103 ± 2 | 105 ± 2 |
HL110 | T | groundmass | 100 | 12/12 | 35 ± 5 | 32 ± 4 |
HL112 | AB | groundmass | 70.3 | 5/7 | 62 ± 15 | 92 ± 16 |
HL117 | TB | groundmass | 100 | 8/8 | 55 ± 9 | 60 ± 8 |
HL127 | TrnB | groundmass | 100 | 9/11 | 93 ± 10 | 81 ± 10 |
HL136 | T | groundmass | 100 | 12/12 | 45 ± 5 | 43 ± 4 |
HL143 | TrnB | groundmass | 100 | 11/12 | 200 ± 20 | 184 ± 19 |
HL145 | T | groundmass | 100 | 10/12 | 38 ± 4 | 40 ± 3 |
HL150 | BTA | groundmass | 100 | 11/12 | 35 ± 10 | 35 ± 8 |
HL153 | TA | groundmass | 84 | 9/12 | 86 ± 6 | 77 ± 5 |
HL16 | TA | groundmass | 100 | 11/12 | 77 ± 5 | 73 ± 5 |
HL172 | T | groundmass | 94.3 | 11/12 | 73 ± 2 | 71 ± 2 |
HL173 | TB | groundmass | 100 | 12/12 | 38 ± 13 | 43 ± 12 |
HL178 | TB | groundmass | 71.3 | 5/12 | 157 ± 19 | 22 ± 18 |
HL186 | T | groundmass | 67.8 | 8/13 | 34 ± 3 | 30 ± 2 |
HL190 | TB | groundmass | 52.7 | 5/12 | 71 ± 5 | 22 ± 6 |
HL200* | TrnB | groundmass | 86 ± 16 | - | ||
HL204 | TA | groundmass | 71.5 | 7/12 | 122 ± 10 | 102 ± 9 |
HL209 | TA | groundmass | 100 | 10/12 | 110 ± 3 | 111 ± 2 |
HL211* | BTA | groundmass | 84 ± 11 | - | ||
HL212 | TrnB | groundmass | 100 | 11/12 | 62 ± 8 | 59 ± 6 |
HL213 | BTA | groundmass | 84.2 | 8/12 | 92 ± 5 | 94 ± 4 |
HL216 | TrnB | groundmass | 54 | 6/12 | 110 ± 20 | 83 ± 14 |
HL219* | T | groundmass | 88 ± 3 | - | ||
HL220* | TrnB | groundmass | 95 ± 10 | - | ||
HL231* | BTA | groundmass | 53 ± 10 | - | ||
HL233 | BA | groundmass | 100 | 12/12 | 100 ± 30 | 90 ± 20 |
HL236 | TB | groundmass | 57.1 | 5/12 | 50 ± 20 | 40 ± 20 |
Table 4 . Radiocarbon dating result for charcoal from the intercalated sediment layer between lavas of near Sara-Oreum,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sample no | δ13C‰ | 14C age (yr BP) | calibrated age (Cal yr BP) | material |
---|---|---|---|---|
HL190 | -23.9 | 23,921±104 | 27,980±206 | charcoal |
Jun Beom Park, Gi Won Koh, Yongmun Jeon, Won Bae Park, Soo Hyoung Moon, Deok Cheol Moon
Econ. Environ. Geol. 2021; 54(2): 187-197Seung-Gyun Baek and Maeng-Eon Park
Econ. Environ. Geol. 2005; 38(4): 395-409Junmo Yang, Byung-Doo Kwon, Heisoon Lee, Sung-Ho Song, Gyeosoon Park and Kyu-Sang Lee
Econ. Environ. Geol. 2007; 40(1): 6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