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 Environ. Geol. 2020; 53(4): 479-489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https://doi.org/10.9719/EEG.2020.53.4.479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Correspondence to : wansooha@p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 fault is a geological structure that can be a migration path or a cap rock of hydrocarbon such as oil and gas, formed from source rock. The fault is one of the main targets of seismic exploration to find reservoirs in which hydrocarbon have accumulated. However, conventional fault detection methods using lateral discontinuity in seismic data such as semblance, coherence, variance, gradient magnitude and fault likelihood, have problem that professional interpreters have to invest lots of time and computational costs. Therefore, many researchers are conducting various studies to save computational costs and time for fault interpretation, and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attracted attention recently. Among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many researchers are conducting fault interpretation studies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multi-layer perceptron, deep neural network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lgorithms. Especially, researchers use not only their own convolution networks but also proven networks in image processing to predict fault locations and fault information such as strike and dip. In this paper,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se studies, we found that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based on the U-Net from image processing is the most effective one for fault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Further studies can expect better results from fault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using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long with transfer learning and data augmentation.
Keywords fault detection, machine learning, support vector machine, deep neural network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배우람 · 하완수*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단층은 근원암에서 형성된 석유 가스 등의 탄화수소가 이동하는 통로이자 탄화수소를 가두는 덮개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질구조로, 탄화수소가 축적된 저류층을 찾기 위한 탄성파 탐사의 주요 대상 중 하나이다. 하지만 기존의 유사성, 응집성, 분산, 기울기, 단층가능성 등 탄성파 자료의 측면 방향 불연속성을 활용하는 단층 감지 방법들은 전문지식을 갖춘 해석자가 많은 계산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단층 해석에 필요한 계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단층 해석에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술들 중 서포트백터머신, 다층퍼셉트론, 심층 신경망, 합성 곱 신경망 등의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연구는 독자적인 구조의 모델을 사용한 연구뿐만 아니라,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성능이 검증된 모델을 활용한 연구 및 단층의 위치와 주향, 경사 등의 정보를 함께 해석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재까지 단층 위치 및 단층 정보 해석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은 영상 처리 분야에서 검증된 U-Net 구조를 바탕으로 한 합성곱 신경망인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합성곱 신경망에 전이학습 및 데이터 증식 기법을 접목하면 앞으로 더욱 효과적인 단층 감지 및 정보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단층 탐지, 기계 학습, 서포트벡터머신, 심층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Econ. Environ. Geol. 2020; 53(4): 479-489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https://doi.org/10.9719/EEG.2020.53.4.479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Wooram Bae and Wansoo Ha*
Department of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wansooha@pknu.ac.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 fault is a geological structure that can be a migration path or a cap rock of hydrocarbon such as oil and gas, formed from source rock. The fault is one of the main targets of seismic exploration to find reservoirs in which hydrocarbon have accumulated. However, conventional fault detection methods using lateral discontinuity in seismic data such as semblance, coherence, variance, gradient magnitude and fault likelihood, have problem that professional interpreters have to invest lots of time and computational costs. Therefore, many researchers are conducting various studies to save computational costs and time for fault interpretation, and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attracted attention recently. Among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many researchers are conducting fault interpretation studies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multi-layer perceptron, deep neural network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lgorithms. Especially, researchers use not only their own convolution networks but also proven networks in image processing to predict fault locations and fault information such as strike and dip. In this paper,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se studies, we found that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based on the U-Net from image processing is the most effective one for fault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Further studies can expect better results from fault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using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long with transfer learning and data augmentation.
Keywords fault detection, machine learning, support vector machine, deep neural network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배우람 · 하완수*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단층은 근원암에서 형성된 석유 가스 등의 탄화수소가 이동하는 통로이자 탄화수소를 가두는 덮개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질구조로, 탄화수소가 축적된 저류층을 찾기 위한 탄성파 탐사의 주요 대상 중 하나이다. 하지만 기존의 유사성, 응집성, 분산, 기울기, 단층가능성 등 탄성파 자료의 측면 방향 불연속성을 활용하는 단층 감지 방법들은 전문지식을 갖춘 해석자가 많은 계산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단층 해석에 필요한 계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단층 해석에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술들 중 서포트백터머신, 다층퍼셉트론, 심층 신경망, 합성 곱 신경망 등의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연구는 독자적인 구조의 모델을 사용한 연구뿐만 아니라,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성능이 검증된 모델을 활용한 연구 및 단층의 위치와 주향, 경사 등의 정보를 함께 해석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재까지 단층 위치 및 단층 정보 해석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은 영상 처리 분야에서 검증된 U-Net 구조를 바탕으로 한 합성곱 신경망인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합성곱 신경망에 전이학습 및 데이터 증식 기법을 접목하면 앞으로 더욱 효과적인 단층 감지 및 정보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단층 탐지, 기계 학습, 서포트벡터머신, 심층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Ju Young Park, Sun Young Park, Jiyoung Choi, Sungil Kim, Yuri Kim, Bo Yeon Yi, Kyungbook Lee
Econ. Environ. Geol. 2024; 57(5): 529-537Kyoungeun Lee, Jaehyung Yu, Chanhyeok Park, Trung Hieu Pham
Econ. Environ. Geol. 2024; 57(4): 353-362Kalaivanan K, Vellingiri J
Econ. Environ. Geol. 2024; 57(3): 329-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