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s of LDHs as building/environmental, flame retardant, and textile materials
핵심 연구내용 | LDH 구성 | LDH(/복합체) | 제조법 참고문헌 | |
---|---|---|---|---|
팔면체 양이온 | 층간 음이온 | |||
Building/environmental materials | ||||
시멘트소재 물성개선(LDH를 이용한 수용액 내 Cl 이온 흡착고정화를 통한 콘크리트 열화 및 내부식성 방지, Cl에 의한 수질오염 저감에도 응용 가능) | MgAl, CaAl | NO3 | co-precipitation | (Lee et al., 2016) |
시멘트소재 물성개선(LDH 첨가에 따른 모르타르 내 Cl이온 침투 저항성 및 균열 시멘트의 자기치유 특성 개선) | MgAl | co-precipitation calcination 포틀란드시멘트:자기치유물질:LDH(시멘트 기준 배합비 90:5:5) | (Yoo and Jang, 2022) | |
Flame retardant materials | ||||
내열소재 물성개선(난연성 유기변성제 층간 삽입된 LDH에 의한 소재 열적(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 향상) | ZnAl | NO3 replaced with oleate | co-precipitation composite with ABS-resin compound | (Kim, 2008) |
내열소재 물성개선(난연성 유기변성제 층간 삽입된 LDH에 의한 소재 열적 및 기계적 특성 향상) | MgAl | CO3, (NO3) replaced with poly(methyl methacrylate) | co-precipitation hydrothermal treatment exfoliation by formamide organic modification electrospinning | (Ma and Wang, 2022) |
Textile materials | ||||
섬유소재 물성개선(LDH복합체 충진재에 의한 glass-reinforced aluminum laminate 수지의 기계적 물성 및 내손상성 개선) | blending LDH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using epoxy and hardener | (Bright et al., 2022) |